2023.10.01 (일)

  • 맑음동두천 22.1℃
  • 맑음강릉 22.6℃
  • 맑음서울 22.6℃
  • 맑음대전 21.1℃
  • 맑음대구 23.5℃
  • 맑음울산 22.7℃
  • 맑음광주 22.5℃
  • 맑음부산 23.9℃
  • 맑음고창 21.9℃
  • 맑음제주 24.9℃
  • 맑음강화 22.1℃
  • 맑음보은 21.0℃
  • 맑음금산 21.3℃
  • 맑음강진군 23.7℃
  • 맑음경주시 23.8℃
  • 맑음거제 21.3℃
기상청 제공

기획PLUS

[주택동향] 예측 불가 아파트가격...금융규제 vs 규제완화 힘겨루기

정부와 정치권 주택논쟁...7주 연속 0.08%~0.10% 박스권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정부의 금융규제로 아파트 매수자가 감소하면서 거래량이 큰 폭으로 줄었지만 매도자들은 좀처럼 호가를 낮추지 않고 있다.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연일 주택규제를 완화하겠다는 공약들이 쏟아지면서 재건축 등 재정비사업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시장에서는 정부의 금융규제와 정치권 발 재건축기대가 힘겨루기를 하면서 가격도 등락을 거듭하는 등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매주 수도권 아파트 가격을 조사해 발표하는 부동산114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서울 아파트가격의 주간상승률은 지난 10월 8일 0.10%를 기록한 후 0.08%로 잠깐 줄었다가 11월 둘째주와 셋째주는 0.09%로 다소 상승률이 커졌다.


10월 첫째주 0.12%를 보인 이후 7주째 0.08%~0.10% 사이를 오가고 있는 모습으로, 시장에서는 박스권이 형성됐다고 설명한다. 




정부의 대출총량규제와 금리인상으로 수요자가 이탈하면서 거래량은 크게 줄었지만 매도자도 호가를 쉽게 낮추지 않고 있어서 수요자와 매도자 사이에 가격 절충점을 찾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특히 서울 강남의 재건축 대상 아파트는 몇 주 째 한 주에 5000만~1억 원씩 오르는 등 재건축규제완화 기대감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부동산114의 조사에 따르면 강남구 대치동과 개포동, 서초구 반포동 일대의 노후단지들은 시세가 30억원을 넘나드는 고가의 아파트인데도 서울시와 대권 유력주자들의 재건축규제 완화방침·공약이 발표되면서 상승세를 멈추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가양단지, 염창동아 등 강서구의 아파트들도 지난주 2000~4500만원, 0.25% 오르면서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또 경희궁자이, 숭인롯데캐슬 등 종로의 아파트도 500~3000만원, 0.24% 오르면서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이렇게 서울 아파트가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의 신도시와 경기인천 지역은 큰 등락폭을 보이고 있다.


분당, 평촌 등 신도시지역은 서울 아파트가격 상승세가 주춤했던 11월 초에는 0.05% → 0.07%로 상승세를 타다가 서울 상승률이 커지자 다시 0.05%, 0.04%로 내려 앉았다. 11월 셋째주 주간상승률은 분당 0.08%, 평촌 0.07%, 산본 0.07%로 1기 신도시들이 500~1000만원 오르면서 신도시 상승률을 끌어 올렸다.


경기인천지역도 11월 첫째주에 상승률이 0.07%까지 커졌지만 11월 둘째주, 셋째주에는 각각 0.04%, 0.05%로 작아졌다. 수원이 0.12%, 부천 0.09%, 인천 0.08%로 500~1000만원 오르면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세가격은 서울에서는 관악구가 한 주만에 0.29%, 노원구가 0.24%, 강남구가 0.10% 오르며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신도시에서는 광교가 0.09%, 경기인천에서는 김포가 0.09% 상승률을 보여 지역에서는 가장 높았지만 서울의 전세가격 상승률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11월 마지막 주는 종합부동산세 고지서가 발부될 예정이다. 특히 다주택자들은 수 천만원의 고지서를 받아들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114는 종합부동산세때문에 매물이 많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하며 "과세기준이 많이 오르면서 지난 6월 1일 확정됐고 납세자들도 세금중과를 어느정도 예상한 만큼 다주택자 보유 주택이 매물로 쏟아질 가능성은 낮아보인다"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의 DSR강화, 대출한도규제, 추가금리인상 등 주택수요를 억제하는 정책과 비과세기준 상향, 정치권의 규제완화 공약들이 맞서면서 주택가격은 힘겨루기 국면을 한동안 지속할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