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것도 기후다: 저탄소 식단의 힘

  • 등록 2024.12.12 09:05:09
크게보기

탄소를 줄이는 가장 쉬운 방법, 식탁에서 시작된다

[산업경제뉴스=김재영 기자] 탄소중립 시대, '먹는 방식'도 기후를 바꾼다. 우리가 매일 선택하는 식재료와 식단이 온실가스 배출에 영향을 미치며, 최근에는 건강과 환경을 동시에 고려하는 ‘저탄소 식단’이 새로운 실천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저탄소 인증제
국가와 농업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저탄소 농산물 소비를 활성화하고 저탄소 생산을 유도하는 시장 기반의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이 바로 ‘저탄소 인증제’다. 

이 제도는 친환경 또는 GAP 인증을 받은 농산물 가운데, 생산 과정에서 저탄소 농업기술을 적용하고 품목별 평균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낮을 경우 인증하는 방식이다. 현재 인증이 가능한 품목은 과수, 채소, 식량작물 등 총 65개 품목이다. 

또한 농업인들은 ’저탄소 인증‘을 받기 위해 사전에 ’저탄소 인증 지원사업‘을 신청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증 요건을 충족하면 저탄소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음식의 탄소발자국 
동물이 땅 위에 발자국을 남기듯, 인간의 활동도 이산화탄소라는 흔적을 남긴다. 이를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이라 하며, 2007년 영국에서 처음 개념이 제시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음식의 탄소발자국은, 식품이 재배되고 가공된 후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전 과정즉, 생산·가공·포장·수송·보관 등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뜻한다.

우리는 저탄소 식단을 실천함으로써 음식이 남기는 탄소발자국을 줄이고, 나아가 기후위기 대응에 참여할 수 있다. 작은 한 끼의 선택이 지구의 내일을 바꿀 수 있는 셈이다. 

식단에서 온실가스 배출량과 건강의 영향 
’다양한 식단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과 건강 co-benefits 추정연구‘(2016)에 따르면, 온실가스 배출량과 건강 영향 사이에는 대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식단이 적은 식단보다는 질병의 상대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즉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저탄소 식단으로 건강과 환경 모두 챙길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완전 채식보다는 적절한 육류와 풍부한 채소를 조합한 식단이 건강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저탄소 식문화 캠페인과 일상에서 실행 가능한 식단 
우리나라는 저탄소 식문화 확산을 위한 캠페인으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주도하에 ’코리아 그린푸드 데이‘를 진행한 바 있다. 이 날은 우리 지역의 저탄소·친환경 농식품으로 건강한 한 끼를 남김없이 먹는 날로, 우리 모두와 미래세대를 위해 먹거리의 생산-유통-소비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대국민 식생활 개선 캠페인이다. 

이처럼 저탄소 식단은 복잡하게 준비하거나 특별한 식단이 아닌,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도 충분히 실천할 수 있다. 

먼저 육류·유제품 같은 음식 섭취를 줄이고, 탄소 발생 자체가 적은 저탄소 인증 식품을 선택한다. 마트나 시장에서 저탄소 인증 마크를 확인해 구매하는 것도 저탄소 식단을 실천하는 방법이다. 

또한 유통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신선도가 높은 로컬 푸드를 섭취 하는 것이 좋다. 제철 음식 섭취도 건강과 탄소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배달식품은 포장재 사용과 운송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 소비와 탄소배출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자제 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 방법으로는 역시 음식물 쓰레기 감소다. 음식물 폐기량이 많을수록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많은 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에, 먹을 만큼만 구매하고 남는 음식은 최소한으로 줄인다. 

물론, 저탄소 식단을 둘러싼 인식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인증 품목도 한정적이고, 제도적 뒷받침도 더욱 필요하다. 하지만 ‘먹는 것’이 기후를 지키는 실천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퍼진다면, 우리의 한 끼는 더 가볍고 우리의 일상은 더욱 지속 가능해질 수 있다.

김재영 기자 wodud65@biznews.or.kr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산업경제뉴스| 등록정보:서울,아04803ㅣ등록일:2017.10.26ㅣ발행일:2017년 11월 5일 발행인 : 주식회사 지식품앗이 양학섭ㅣ편집인 : 민경종 주소 : 03443 서울 은평구 증산로17길 43-1, 제이제이한성B/D B1층 (신사동) ㅣ 전화번호:070-4895-4690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