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온) 국토교통부는 열차 운행 거리의 지속적인 증가 속에서도 2016년 철도사고가 지난해 대비 10.9% 감소했고, 철도사고 사망자도 18.4% 감소하는 등 철도사고와 철도사고 사망자가 5년 연속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2016년 열차 운행 거리는 호남고속선과 수서고속철도(SRT) 개통 등으로 5년 전에 비해 3.2% 증가한 2.24억Km(’12년 2.17억km)이며 철도사고 발생 건수는 123건(’15년 138건, 15건↓), 사망자는 62명(’15년 76명, 14명↓)이다.
특히, 열차사고(건널목사고 포함)는 통계 수치상 유럽 등 교통안전 선진국 수준에 이른 것으로 분석된다.
2016년 철도교통사상사고는 전년 대비 21%(’15년 100건→’16년 79건, 21건↓) 감소했고, 건널목 사고도 25%(’15년 12건→’16년 9건, 3건↓) 감소했다.
철도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도 122명(사망 62명, 부상 60명)으로 전년에 비해 16.4%(’15년 146명, 24명↓) 감소했다.
반면, 탈선 등 열차사고는 전라선 율촌역 일반열차 탈선 등으로 지난해보다 증가(’15년 4건→‘16년 8건, 4건↑)했고, 역사 화재 등 철도안전사고도 지속 발생(‘15년 22건→‘16년 27건)하고 있다.
이러한 전반적인 철도 사망자의 감소는 안전문(스크린도어) 설치 확대, 노후시설 개량 등 철도 시설의 안전성 향상과 체계적인 철도안전 대책 추진의 성과로 볼 수 있다.
특히 올해는 광역·도시철도의 안전문 설치를 완료(910개역)하고, 철도운영자 등에 대한 안전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등 운영자가 자발적으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강화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더불어 노후차량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강화 및 지속적인 노후시설 개량 등을 통해 2020년까지 철도사고를 지금에 비해 30%이상 감축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