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Ceres에게 있어 중요한 이정표에 해당하며, 두산은 Ceres의 전략적 라이선스 파트너 중 최초로 해당 기술을 활용해 대량 생산 단계에 진입한 기업이 된다. 두산퓨얼셀이 생산하는 연료전지, 스택, 발전시스템은 초기에는 한국 내 고객을 대상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두산퓨얼셀은 한국에 위치한 전용 공장에서 연료전지 스택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제조하고 있으며, 연간 50MW의 발전 용량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는데,
Ceres가 설계한 연료전지는 전라북도에 위치한 두산퓨얼셀의 첨단 공장에서 제조되며, 이 공장은 2022년에 착공했다. 이번 완공은 세계 최초의 Ceres 금속 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시스템 생산시설의 본격 가동을 의미한다.
두산퓨얼셀은 오는 2025년 말 이전에 첫 SOFC 제품의 판매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고체산화물 시스템을 정지형(stationary) 분산전원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대표적 활용처로는 AI 연산의 확산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데이터센터가 있으며, 연료전지 배치를 통해 이러한 수요에 대응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망과 마이크로그리드의 안정화(피크 발전), 건물용 전력 시스템, 해양 운송 시장을 위한 보조전력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산퓨얼셀 이두순 CEO는 “연료전지는 데이터센터 등 AI로 인한 다양한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 최적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청정에너지 솔루션”이라며 “세계에서 선도적인 연료전지 시장인 한국에서 Ceres와의 협력을 통해 첨단 SOFC의 상용화 주도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이러한 기술의 상업화와 국내 생산 촉진에 나섬으로써 상업용 전력 시장과 해상 모빌리티 분야에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을 통해 글로벌 탈탄소 전환을 가속하는 데 앞장서고자 한다”고 포부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