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영정천 수질오염 사고 발빠른 초동대응으로 영산강 확산 막았다

  • 등록 2017.03.27 10:25:18
크게보기


(미디어온) 광주광역시는 지난 25일 오후 3시경 광산구 하남3교 아래 풍영정천에 기름띠가 형성돼있다는 민원을 접수하고 곧바로 현장에 출동해 수질오염사고에 신속히 대처했다고 밝혔다.

현장 확인 결과 하남3교 밑 제2배수관문에서 유류가 유입돼 풍영정천을 거쳐 극락천 합류지점까지 유막이 형성됐으나, 시의 적극적이고 발빠른 대처로 영산강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광주시는 사고 당일, 즉각 영산강유역환경청에 사고를 전파하고 방제작업을 위해 서구, 북구, 광산구청과, 한국환경공단, 보건환경연구원 등 관계기관에 방제작업을 요청하고, 시와 이들 기관 관계자 260여명이 현장에 출동해 흡착포살포, 오일펜스 및 오일붐 5개소를 긴급 설치하고 한국환경공단의 유회수장치(oil return system)를 동원해 유류를 수거했다.

시는 26일에도 한국환경공단 유회수장치 총 6대를 투입하고, 폐수처리업체를 동원해 남아있는 유류에 대해 수거작업을 지속했다.

윤장현 광주시장도 25~26일 연 이틀 현장에서 방제작업을 진두지휘했다.

윤 시장은 “영산강 줄기인 풍영정천은 인근 수완지구 주민들과 극락친수공원이 가까운 만큼 주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하고 완벽한 방제작업을 해 달라”고 현장 관계자들에게 당부했다.

한편, 시 보건환경연구원이 풍영정천에 유입된 유류의 시료를 검사한 결과 n-H 추출물질로 광유류(관련업종 : 자동차제조업, 금속제품제조업, 차량정비업소 등) 성분으로 아직 수질생태계에는 피해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광주시는 유류 배출업소 색출 및 사고발생 경위를 파악하기 위해 어제부터 3개 단속반 6명이 하남산단 주변 하수구 맨홀을 역추적하면서 n-H 추출물질인 광유류를 사용하는 자동차·금속제품 제조업, 차량정비업소 등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유류 배출업체가 적발되면 강력한 행정처분과 함께 고발 등 형사처분도 병행할 방침이다.
관리자 cs@mediaon.co.kr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회사명 : 주식회사 지식품앗이 | 사업자 등록번호 : 214-88-73852 ㅣ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아04803ㅣ등록일 : 2017.10.26ㅣ발행일 : 2017년 11월 5일 제호 : 산업경제뉴스 ㅣ발행인 : 양학섭ㅣ편집인 : 민경종 주소 : 03443 서울 은평구 증산로17길 43-1, 제이제이한성B/D B1 (신사동) ㅣ 전화번호 : 070-4895-4690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