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주력업종 2022년 전망 "수출 증가율 올해의 1/7로 급감"

2021.12.02 04:06:46

10개 수출주력업종 수출증가율 '21년 24.1% → '22년 3.3%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코로나19로 힘겨웠던 2021년이 저물어 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 경제의 핵심 경쟁력인 수출주력업종들은 2022년 마저 여전히 어둡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기업들은 내년 매출 증가율이 코로나로 힘들었던 올해의 1/3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수출 증가율은 이보다 더 부진해서 올해의 1/7 수준으로 주저 앉을 것으로 전망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반도체, 자동차, 정유, 조선, 철강, 디스플레이, 자동차부품, 섬유, 가전, 바이오헬스 등 10개 수출 주력 업종의 각 협회에게 ‘2021년 실적 및 2022년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올해 실적은 코로나 3차, 4차 유행 등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지난해보다 14.7% 증가했으며, 수출은 24.1%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하지만 내년인 2022년에는 매출이 4.9%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으며, 수출은 겨우 3.3%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이유는 기저효과, 주요업종 실적부진, 원자재·금리 인상 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2021년에는 2020년 실적이 워낙 않좋았기 때문에 그에따른 기저효과로 성장률이 컸지만 2022년에는 이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내년 상장세가 줄어들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 내년에는 가전, 철강 업종 등이 2021년보다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부진 업종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는 것도 주요 요인이다.


가전은 올해, 코로나19로 프리미엄제품군의 특수가 있었으나 내년에는 이러한 특수 효과가 줄면서 2021년보다 매출이 5~10%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철강업계는 글로벌 수요 둔화와 수출단가 조정의 영향으로 매출이 5%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보았다. 디스플레이와 반도체업계는 각각 패널과 메모리 가격 하락을 반영해 2021년과 유사한 수준의 실적이 전망됐다.


하지만 이러한 가운데도 조선업종은 20%의 매출 증가를 전망했으며, 섬유, 정유, 바이오헬스 등도 5~15%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2년 대외 환경 전망





이밖에도 최근 수출기업의 현안으로 떠오른 원자재 수급 불안,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및 보호무역주의도 내년에는 부정적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내년 성장률에 불안요인이 될 전망이다.


특히 원자재 수급의 경우 올해보다 약간 악화되거나 매우 악화될 것으로 보았으며, 약간이라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는 업종은 한 군데도 없었다. 미·중 무역 갈등 역시 약간 악화될 것으로 전망하는 업종이 가장 많았다.


수출주력업종들은 내년 국내경제에 대해서는 50%가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40%는 약간 개선될 것으로 전망해서 국내경기에 대해서는 내년이 올해보다 나을 것이라는 희망의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증권가 리서치센터장들은 현재 우리 기업들이 유가, 원자재가격, 물류비, 환경비, 고금리 등의 5중고를 겪고 있다면서, 내년에도 이들 요인들의 변화에 따라 기업들의 경영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유가는 올해 말에만 최고 배럴당 90 달러를 넘어서는 등 연초보다 2 배나 상승하고, 천연가스는 연초 2.6달러에서 최고 6.3달러까지 오르며 2.5배나 오를 것으로 내다보며 내년 경기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이밖에도 탄소배출권도 내년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해서 기업들에게 부담을 줄 것으로 전망했으며, 기준금리도 올해 연말 1.0%, 내년 상반기 1.22% 그리고 내년 하반기에는 1.46%까지 오르며 기업들을 힘겹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조사를 실시한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원자재 가격 불안정과 공급망 차질의 악재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의 재확산도 여전히 불안 요인”이라면서,


“호랑이의 해인 2022년에 우리 기업들이 어려운 여건을 돌파할 수 있도록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성희 기자 moonsh@biznews.or.kr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

관련기사

PC버전으로 보기

산업경제뉴스| 등록정보:서울,아04803ㅣ등록일:2017.10.26ㅣ발행일:2017년 11월 5일ㅣ발행인:(주)산업경제뉴스ㅣ편집인:김종범 주소 : 03324 서울시 은평구 연서로27길 13-11, B동 302호ㅣ전화번호:02-6402-7603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