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유상 보험 칼럼] ①연금보험의 역설?

2019.05.29 09:02:36


필자에게 보험을 가입한 어느 지인의 이야기다.


이야기는 25년 전 코스닥 투자열풍이 불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정부가 벤처투자 육성 방침을 강력히 추진하면서 벤처기업 위주로 구성된 코스닥 상장사가 각광을 받던 시절, 그는 가지고 있던 현금을 모두 코스닥 통신회사에 투자했다.

 

당시 필자는 그에게 장수에 대한 니즈(needs)를 환기시켜, 사망할 때까지 연금을 지급받는 보험을 어렵게 체결했다. 그 후 3년인가 지났을 무렵, 코스닥 열풍이 수그러들면서 그는 투자한 돈의 대부분을 잃고 실의에 빠지게 됐고 이 연금보험도 중도에 해지하려고 문의가 왔다. 


하지만 얼마 불입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중도해약이라 상당부분 원금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예상됨에 따라, 필자는 다시 한번 장수 및 노후에 대한 이야기로 계속 납입을 설득했고, 그 결과 작년부터는 연금을 수령중이다.


지금 그 분이 필자에게 하는 말씀은, 특별히 하는 일 없이 연금으로만 살고 있는데 정말 큰 도움을 받고 있으며, 그때 해약했더라면 주식에 또 투자했을 것이고 그 돈 역시 사라지고 없었을 터인데 정말 고맙다는 말이었다. 


만약 그 당시 보험료 납입 원금에다 이자까지 붙었더라면 그는 해약을 실행했을 것이고, 그 돈 역시 벌써 없어졌을 것인데 아이러니 하게도 원금 손실이 발생함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계속 납입한 결과 지금은 큰 효자노릇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목돈이란 오랜 기간 적립해야 모이는 것이고, 짧은 기간에 모인 작은 목돈은 큰 목돈이 되지 못한다. 특히 보험 상품은 복리로 운용되니 오래가면 갈수록 큰돈이 모아지는 것은 당연한 이치가 아닐까?


돌아가신 필자의 어머니께서는 가끔 계를 하셨고, 곗돈을 타는 날에는 모처럼 외식을 했고 새 텔레비전을 바꾼 기억도 난다. 지금 생각하면 아마 큰 목돈은 모으시지 못했을 것 같다. 


보험업에 종사한지도 벌써 35년 세월이 흘렀다. 수많은 사람들이 보험의 순기능(불확실한 미래 보장)에 대한 믿음으로 오래 오래 보험을 유지하겠노라 다짐하며 가입하지만, 가입 10년 후 종신보험유지율은 30%가 채 안된다. 


즉, 10명이면 3명만 유지하고 7명은 조기 해약해 버리고 만다는 얘기다. 은행 적금도 매 한가지다. 


특히 보험은 만기가 길고, 은행 적금은 짧지만 3년짜리 은행 적금 만기 수령 건이 절반이 채 안된다고 한다. 가입할 때 수없이 요리조리 생각해 보고 따져보고 고민하고 가입했을 것이다.


하지만 조금만 어렵고 힘들면 가장 먼저 정리하는 게 보험이니 더욱 안타까울 따름이다. 


복리를 이야기할 때 ‘72법칙’이란 말이 있다. 이자율에 따라 원금이 2배가 되는 기간을 계산하는 법칙인데, 가령 年4% 이자로 원금의 2배가 되는 기간은 18년, 연6%인 경우는 12년, 연10%는 7.2년이 지나야 원금의 2배가 된다는 법칙이다. 그만큼 복리 효과가 크다는 이야기다.

 

지금부터라도 보험을 처음 가입할 때의 마음을 생각하고 굳건하게 끝까지 가져가보면 어떨까? 


[* 이 글은 산업경제뉴스와는 무관한 필자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 필자(조유상 메가더존인스GA 대표) 프로필


 ~ 전) 흥국생명 지점장

 ~ 전) 미래에셋생명 지점장

 ~ 전) KDB생명 지점장

 ~ 현) 메가더존인스GA대표

조유상 GA 대표 yscho2001@nate.com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

관련기사

PC버전으로 보기

산업경제뉴스| 등록정보:서울,아04803ㅣ등록일:2017.10.26ㅣ발행일:2017년 11월 5일ㅣ발행인:(주)산업경제뉴스ㅣ편집인:김종범 주소 : 03324 서울시 은평구 연서로27길 13-11, B동 302호ㅣ전화번호:02-6402-7603 Copyright Biz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