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제뉴스 김명인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19일, 차세대 리더 후보군으로 347명의 2019년도 정기 승진 임원 명단을 발표했다.
인원은 현대∙기아자동차 183명, 계열사 164명으로, 직급별로는 △부사장 8명 △전무 25명 △상무 64명, △이사 106명 △이사대우 141명 △연구위원 3명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인사는 신규 임원 수를 예년보다 늘림으로써 리더십 변화 폭 제고 및 차세대 리더 후보군 육성 차원에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번 정기 임원인사에서 이사, 이사대우, 연구위원 등 중장기 리더 후보군 승진자는 전년 대비 42명이 증가했고, 상무 이상 승진자는 전년 대비 5명(102명 → 97명) 감소했다.
또한, 연구개발/기술 분야 승진자가 146명으로 지난해 보다 9명이 늘었고, 전체 승진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2.1%로 2년 연속 40%대를 상회했다.
새롭게 선임된 연구위원은 △자율주행 기술 분야 유제명 위원 △환경차 분야 어정수 위원 △연비동력 분야 정영호 위원 등이다.
영업/마케팅 부문 승진자도 총 89명으로 지난해 대비 53.4% 증가했다. 아울러 높은 성과를 이뤄낸 여성 임원으로는 현대카드 브랜드1실장 류수진 부장이 이사대우로 승진했다.
승진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 현대자동차 - 133명 ]
▲ 부사장 (4명)
문정훈(文正勳) 박동일(朴東日) 장재훈(張在勳) 전상태(全相泰)
▲ 전무 (10명)
김무상(金茂相) 문상민(文相敏) 박창욱(朴昌旭) 송광수(宋光洙) 이청휴(李淸休)
임정환(林正煥) 정준철(鄭俊喆) 정현칠(鄭鉉七) 허병길(許柄吉) 허정환(許晶煥)
▲ 상무 (24명)
강두식(姜斗植) 김언수(金彦秀) 김종수(金鍾洙) 김종태(金鐘泰) 류지성(柳知成)
맹하영(孟夏永) 민동철(閔東喆) 박수동(朴守東) 박현달(朴炫達) 백철승(白哲承)
서민성(徐旻成) 이규복(李圭馥) 이병훈(李秉勳) 이선우(李宣雨) 이영희(李永熙)
이재철(李載澈) 임기빈(林箕彬) 임재웅(林在雄) 장덕상(張德相) 정방선(丁芳善)
최규헌(崔圭憲) 최진안(崔鎭安) 추교웅(秋敎雄) 홍석범(洪錫範)
▲ 이사 (40명)
강기문(姜其文) 곽근영(郭根榮) 김경태(金慶泰) 김기효(金基孝) 김명실(金明實)
김성남(金成男) 김성준(金成俊) 김충열(金忠烈) 김태성(金泰成) 박정환(朴貞奐)
박찬영(朴燦韺) 박철연(朴哲延) 박형연(朴亨然) 배현주(裵昡柱) 송민규(宋敏圭)
신승규(申勝圭) 신승호(申承昊) 신승환(辛承桓) 양동석(梁東錫) 오준연(吳俊淵)
오중석(吳重錫) 유진환(柳辰桓) 윤성훈(尹聖勳) 윤창섭(尹昌燮) 이대교(李大敎)
이석재(李碩宰) 이성식(李聖植) 이윤규(李倫圭) 이종일(李鍾一) 임만규(林萬奎)
장성곤(張成坤) 조영환(趙榮煥) 조재경(趙在慶) 진욱(陳旭) 최영일(崔永一)
최우석(崔祐碩) 최재호(崔宰豪) 하성종(河成宗) 하학수(河學秀) 홍범석(洪範錫)
▲ 이사대우 (52명)
강상우(姜尙禹) 권교원(權敎遠) 권병준(權炳準) 금영범(琴榮範) 김승찬(金承燦)
김연태(金然泰) 김영일(金泳一) 김재헌(金在憲) 김종완(金鍾完) 김종해(金鍾海)
남중철(南中喆) 박국철(朴國哲) 박동휘(朴東徽) 박삼열(朴三烈) 박상규(朴相奎)
박종진(朴鍾震) 박준서(朴俊緖) 박철(朴哲) 박춘항(朴春恒) 서승우(徐承佑)
성현(成鉉) 손용(孫鏞) 송택성(宋宅盛) 신동수(申東秀) 신용태(愼鏞台)
오광택(吳侊澤) 윤영찬(尹永讚) 이경태(李炅泰) 이근한(李根漢) 이세영(李世瑛)
이시식(李時植) 이시혁(李時赫) 이영호(李永鎬) 이원도(李元渡) 이재민(李在敏)
이종섭(李鍾涉) 이준택(李濬宅) 이황복(李晃馥) 임윤(林鈗) 정경석(鄭坰錫)
정근주(丁根柱) 정덕교(鄭德敎) 정순준(鄭淳俊) 정지한(鄭智漢) 조용성(趙勇星)
조원상(趙源祥) 차우준(車宇准) 최낙현(崔洛炫) 최성길(崔盛吉) 최윤종(崔允鍾)
한영덕(韓榮德) 황치홍(黃致弘)
▲ 연구위원 (3명)
유제명(柳濟明) 어정수(魚禎秀) 정영호(鄭榮皓)
[ 기아자동차 - 50명 ]
▲ 부사장 (1명)
유영종(劉永鍾)
▲ 전무 (6명)
김춘성(金春成) 박래석(朴來錫) 이경재(李京載) 조상현(曺相鉉) 주우정(朱禹貞) 최재현(崔在炫)
▲ 상무 (9명)
김종윤(金鐘潤) 김진하(金鎭河) 박명호(朴明鎬) 박준범(朴峻範) 박태진(朴泰鎭)
이용민(李容敏) 정원정(鄭原政) 태원섭(太元燮) 한석원(韓錫沅)
▲ 이사 (13명)
김경곤(金京坤) 김광오(金光吾) 박규철(朴奎喆) 박종섭(朴鍾燮) 박준영(朴峻瑩)
박희동(朴喜東) 신길남(申吉南) 안기석(安起奭) 유철희(柳澈熙) 정상권(鄭相權)
정의철(鄭義哲) 조상운(趙祥雲) 조영곤(趙永坤)
▲ 이사대우 (21명)
김연수(金延洙) 김용권(金龍權) 김치우(金治佑) 김현영(金賢榮) 문재웅(文載雄)
박용준(朴勇俊) 박현성(朴賢星) 석인재(石仁在) 송재삼(宋在三) 신동수(申東秀)
신현용(申鉉龍) 오세균(吳世均) 오준동(吳俊東) 윤중관(尹重寬) 이동원(李東垣)
이동은(李東泿) 이상화(李相和) 전병구(田炳九) 정장근(鄭銺根) 최영칠(崔榮七)
한상미(韓相美)
[ 현대모비스 - 30명 ]
▲ 부사장 (2명) 배형근(裵亨根) 성기형(成基炯)
▲ 전무 (2명) 백경국(白慶國) 정정환(鄭正桓)
▲ 상무 (2명) 오흥섭(吳興燮) 조서구(趙瑞九)
▲ 이사 (11명) 김연근(金淵根) 김영화(金瀯華) 김종수(金鍾守) 박종원(朴鍾源) 옥진길(玉辰吉)
이성훈(李省勳) 이우일(李愚一) 이형동(李亨東) 정창재(鄭昌在) 정호일(鄭鎬一) 조재목(趙宰穆)
▲ 이사대우 (13명) 가균(賈鈞) 강형구(姜亨求) 김광석(金光石) 김덕권(金德權) 김서홍(金瑞洪)
김형수(金亨洙) 박기태(朴基兌) 박정훈(朴廷薰) 양태규(楊太奎) 이영국(李永國)
이종근(李鐘根) 이한호(李韓浩) 천재승(千載承)
[ 현대위아 - 11명 ]
▲전무(1명) 이봉우(李逢雨)
▲상무(3명) 김기웅(金起雄) 박동호(朴東豪) 원광민(元光敏)
▲이사(1명) 최선필(崔善弼)
▲이사대우(6명) 김창용(金昌龍) 박창석(朴昌夕) 오승훈(吳昇勳) 육군일(陸君日) 이준녕(李埈寧) 정치상(鄭治相)
[ 현대파워텍 - 3명 ]
▲ 이사 (2명) 김한주(金漢株) 장인(張仁)
▲ 이사대우 (1명) 정상길(鄭湘吉)
[ 현대다이모스 - 5명 ]
▲ 상무 (2명) 장희철(張熙哲) 홍상원(洪祥源)
▲ 이사 (2명) 박진영(朴眞瑛) 조신래(趙信來)
▲ 이사대우 (1명) 차수덕(車守德)
[ 현대케피코 - 4명 ]
▲ 상무 (1명) 박찬정(朴贊定) ▲ 이사 (1명) 남궁문(南宮汶) ▲ 이사대우 (2명) 나포룡(羅葡龍) 윤선홍(尹善鴻)
[ 현대제철 - 23명 ]
▲ 부사장 (1명) 박종성(朴鍾成)
▲ 전무 (1명) 김경식(金敬植)
▲ 상무 (6명) 김성주(金成柱) 김원배(金元培) 김현수(金賢洙) 김형철(金炯鐵) 임병직(林炳織)차재동(車在東)
▲ 이사 (5명) 김정한(金政漢) 서재영(徐在永) 이대형(李大衡) 최영모(崔泳模) 최은호(崔殷鎬)
▲ 이사대우 (10명) 고흥석(高興錫) 구동영(具東永) 김정(金正) 김형진(金炯辰) 박상준(朴相俊) 양종오(梁鍾午)
유성만(劉晟滿) 이기동(李起東) 장천근(張天根) 조정연(趙政衍)
[현대비앤지스틸 - 2명 ]
▲ 이사 (2명) 곽길호(郭吉鎬) 김성문(金成文)
[현대종합특수강 - 1명 ]
▲ 상무 (1명) 박종식(朴鍾植)
[ 현대건설 - 26명 ]
▲ 상무 (7명)
김광평(金光平) 김기범(金起範) 김태균(金泰均) 김태욱(金兌昱) 전재호(全載顥) 차승용(車承蓉) 최원석(崔原碩)
▲ 상무보A (8명)
강명찬(姜明瓚) 김태희(金兌熙) 이규재(李圭在) 이용(李龍) 이윤석(李允䄷) 이인기(李仁基) 이종수(李鍾洙)
최영(崔暎)
▲ 상무보B (11명)
고정훈(高貞勳) 구영철(具永哲) 김경수(金京洙) 박세광(朴世光) 서완석(徐完碩) 서희석(徐希錫) 이상배(李相培) 이재현(李在賢) 이철호(李喆鎬) 장승복(張承福) 정윤태(鄭閏太)
[ 현대엔지니어링 - 14명 ]
▲ 전무 (1명)
이승철(李承哲)
▲ 상무 (4명)
박정윤(朴正潤) 이재환(李在奐) 이호일(李鎬壹) 홍현성(洪鉉盛)
▲ 상무보A (4명)
권문한(權文漢) 김민현(金玟賢) 김석호(金碩鎬) 김정배(金正培)
▲ 상무보B (5명)
김준식(金埻植) 이승동(李承東) 정외환(鄭外煥) 조재일(曺在一) 현승환(玄昇煥)
[ 현대스틸산업 - 1명 ]
▲ 상무보B (1명) 심인호(沈仁豪) [ 현대종합설계 - 1명 ]
▲ 상무보A (1명) 이광재(李光宰)
[ 현대캐피탈 - 3명 ]
▲ 이사 (3명)
이형석(李炯錫) 전보성(全普成) 홍근배(洪根培)
[ 현대카드 - 8명 ]
▲ 전무 (1명) 김덕환(金德桓)
▲ 상무 (1명) 전성학(全省學)
▲ 이사 (2명) 공봉환(孔奉煥) 전시우(田始雨)
▲ 이사대우 (4명) 공성식(孔聖植) 김명곤(金明坤) 김홍(金弘) 류수진(柳秀珍)
[ 현대커머셜 - 1명 ]
▲ 이사대우 (1명) 김병석(金炳錫)
[ 현대차증권 - 3명 ]
▲ 이사 (2명) 김상철(金相哲) 안현주(安炫柱) ▲ 이사대우 (1명) 김회천(金會千)
[ 현대글로비스 - 9명 ]
▲ 전무 (1명) 전금배(田金培)
▲ 상무 (1명) 유종수(柳鍾洙)
▲ 이사 (4명) 김창기(金昌基) 김희준(金熙俊) 박태영(朴太永) 유흥목(兪興睦)
▲ 이사대우 (3명) 공태윤(孔泰鈗) 김경훈(金慶壎) 박종철(朴鍾喆)
[ 현대로템 - 7명 ]
▲ 전무 (1명) 김두홍(金斗洪)
▲ 상무 (1명) 안효철(安曉哲)
▲ 이사 (1명) 조장욱(趙暲旭)
▲ 이사대우 (4명) 권오철(權五徹) 김진수(金鎭洙) 이대성(李大成) 전상훈(田祥勳)
[ 현대오토에버 - 4명 ]
▲ 이사 (2명)
권동복(權東福) 김석주(金錫珠)
▲ 이사대우 (2명)
강동식(康東植) 박용환(朴鎔煥)
[ 이노션 - 4명 ]
▲ 전무 (1명)
김태영(金泰榮)
▲ 상무 (2명)
김진우(金鎭佑) 최윤관(崔潤寬)
▲ 이사 (1명)
최우석(崔祐碩)
[ 현대엠엔소프트 - 3명 ]
▲ 이사 (1명) 이진동(李震東)
▲ 이사대우 (2명) 김진호(金鎭豪) 서동권(徐東勸)
[ 지마린서비스 - 1명 ]
▲ 이사 (1명) 황창국(黃昌國)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SK AX(사장 윤풍영)가 카테나-X 기반 글로벌 제조 데이터 온보딩을 주도하고, IBCT가 기술을 더해 엔드 투 엔드(End-to-End) 서비스 완성에 본격 나선다. 이는 글로벌 제조 공급망 전 주기 'ESG 전환’을 본격 추진하겠다는 의미로, 이를 위해 지난달 데이터스페이스 전문기업 IBCT(대표 이정륜)와 ‘카테나-X(Catena-X) 기반 글로벌 제조 데이터 생태계 대응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SK AX와 IBCT 양 사는 국내에서 둘 밖에 없는 카테나-X 공식 파트너사로, 이번 협약을 통해 원스톱 엔드 투 엔드 온보딩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며, 단순한 컨설팅이나 시스템 구축을 넘어 글로벌 규제 대응, 데이터 표준화, 전과정평가(LCA) 컨설팅 및 솔루션, 디지털 제품 여권(DPP) 생성 및 데이터 교환, ESG 시스템 설계, 교육, 운영까지 전 과정을 하나의 완결된 패키지로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카테나-X는 SAP, 지멘스, BMW, 메르세데스-벤츠 등 글로벌 제조 선도 기업들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ESG 데이터 연합체로, 제품 생애 전주기에 걸쳐 탄소를 비롯한 핵심 데이터를 연결하고 표준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지난 5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14.7% 줄이는 성과를 냈지만, 정부가 설정한 2030년 감축 목표에는 여전히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구조 개선과 신산업 대응 전략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10월 1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6개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가 확인 가능한 201개사의 2024년 총 배출량은 4억1951만톤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4억9153만톤 대비 14.7%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국가 전체 배출량은 7억5940만톤에서 6억9158만톤으로 줄었으며,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4.7%에서 60.6%로 4.1%포인트 낮아졌다. 그럼에도 여전히 국가 배출량의 60% 이상이 대기업에서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2018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7억8390만톤) 대비 2030년까지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감축률은 약 11.8%에 불과하다. 지금 속도대로라면 2030년에도 20% 안팎에 머물러 목표치의 절반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과 비교해 2024년 배출량이 줄어든 기업은 106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빙그레가 전자제품의 친환경적인 회수와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지난 14일 실시했다.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10월 14일)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캠페인을 진행한 것. 이날 빙그레 임직원들은 가정과 사무실에서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을 자발적으로 수거해 올바른 분리배출과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에 기여했다. 이번 캠페인은 올바른 자원순환 실천문화 확산을 위해 ‘Return(회수)’, ‘Recycle(재활용)’, ‘Reward(혜택)’의 세 가지 테마로 구성한 점이 눈에 띈다. 친환경 전자제품 회수 프로세스를 안내하고 전자제품을 수거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했으며, 자원순환 과정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SNS 참여형 이벤트와 포토존을 운영했다. 또한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캠페인 참가자 전원에게 커피 쿠폰을 제공하고 경품 추첨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특별한 혜택을 마련한 점 등이다. 특히 E-순환거버넌스는 폐전기전〮자제품의 회수 및 재활용에 앞장서는 비영리 공익법인으로, 빙그레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전기전〮자제품을 E-순환거버넌스에 인계해 회수된 제품이 친환경적 프로세스를 거쳐 재활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서울시가 2025년 ‘건물 에너지 신고·등급제’에 참여한 공공 및 민간건물 5,987개 동의 에너지사용량 등급을 10월 15일 오전 9시부터 저탄소건물지원센터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다. 이는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제도의 두 번째 평가 결과로, 시민과 민간의 자발적 참여가 크게 늘어난 점이 주목된다. 올해는 서울시 내 1만 5천여 동의 대상 건물 중 6,322개 동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지난해(4,281개 동)보다 약 1.5배 증가했다. 특히 민간건물의 참여는 지난해 1,510개 동에서 올해 2,991개 동으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났다. 이는 시민들이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번 평가에서 전체 건물의 53.4%가 산업통상자원부의 관리 목표 기준인 B등급 이상을 획득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2.1%p 상승한 수치다. 전체의 92.2%가 A~C등급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으며, D등급은 6.0%, E등급은 1.8%에 그쳤다. 서울시는 이러한 결과가 건물 관리자들의 지속적인 에너지 관리 노력의 성과라고 평가했다. 참여 건물의 용도를 살펴보면, 교육연구시설이 2,221개 동으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서울디자인재단이 유엔환경계획(UNEP)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디자인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제시하며 글로벌 환경 문제 해결에 나섰다. 협약식은 9월 30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진행되었으며, UNEP 산업경제국의 쉴라 아갈칸 국장과 국제환경기술센터(IETC)의 나카무라 타케히로 센터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UNEP는 1972년 설립된 UN 산하 기구로, 전 세계 자연과 천연자원의 보전·보호·증진을 선도하며 국제 환경보전에 핵심적 역할을 해왔다. 본부는 케냐 나이로비에 있으며, 한국위원회는 1996년 설립됐다. 이번 협약은 3년간 유지되며, 디자인을 중심으로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혁신과 행동을 촉진하는 역량 개발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또한 정책 대화와 시범 프로젝트를 통해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제로웨이스트 및 폐기물 관리 등 글로벌 환경 의제에 함께 대응할 계획이다. 교육 프로그램과 연구 이니셔티브도 함께 진행되며, 디자인 실천 속에 지속가능성을 내재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UNEP의 쉴라 아갈칸 국장은 디자인을 통한 순환성이 기후 변화, 생물다양성 손실, 오염과 폐기물이라는 지구의 세 가지 주요 환경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한국항로표지기술원(원장 박광열)이 2025 저탄소 여행주간(9월 26일~10월 26일)을 맞아 마련한 ‘등대스탬프투어×코리아둘레길’ 연계 캠페인에 초대했다. 이는 국민들이 일상 속에서 지속가능한 저탄소 여행을 실천하고 등대문화와 걷기 여행의 가치를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기획된 행사로, 페인의 이름은 ‘길 위의 빛! 코리아둘레길에서 만난 등대 이야기 Part.3’로 구성됐다. ‘두루누비’ 앱을 켜고 등대가 포함된 코리아둘레길 구간을 1km 이상 걸은 뒤 방문한 등대에서 등대 여권에 스탬프를 찍고 인증 사진을 제출하면 된다. 앱의 ‘따라가기 기능’을 활성화해 걷기 기록을 남기고 구글 폼을 통해 스탬프 날인된 여권 사진을 업로드하면 응모가 완료된다. 캠페인 참가자에게는 총 134명에게 다양한 경품이 제공된다. 1등 4명에게는 ‘등대에서의 하룻밤’을 경험할 수 있는 등대스테이 숙박권, 2등 30명에게는 충전식 블랙다이아몬드 헤드랜턴(500루멘 이상), 3등 100명에게는 모바일 신세계상품권(1만원권)이 주어진다. 당첨자는 10월 말에 발표되며, 숙박권은 11월 중 이용 가능하다. 이번 캠페인에는 전국의 27개 등대가 코리아 둘레길에 포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경남 창원·울산지역 거점은행인 BNK경남은행이 추석을 맞아 관내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쌀1.5톤, 전통시장 상품권, 임직원 성금 등을 구석구석 전달한 것으로 알려져 훈훈함을 더하고 있다. 창원시에 ‘1억원 상당 전통시장 상품권’ 기탁…지역 취약계층 2천세대 지원 먼저 BNK경남은행은 지난달 29일 민족 대명절인 추석을 앞두고 창원시에 ‘1억원 상당 전통시장 상품권’을 기탁했다. 이 상품권은 경남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창원시가 추천한 취약계층 가정 2000세대에 순차적으로 전달될 예정이다. 경남과 울산지역 복지시설에 임직원들 마음 담긴 ‘백합나눔회 성금’ 기탁 이어 30일에는 경남과 울산지역 복지시설 43곳에 ‘백합나눔회 성금’ 1630만원을 기탁했다. 이 성금은 전 임직원이 월급여의 일정액(끝전)을 모은 금액에 BNK경남은행 기부금을 더해 마련됐으며, 영업점에서 추천한 복지시설에 전달돼 복지시설 운영비로 쓰여질 예정이다. 추석을 맞아 마산회원노인종합복지관에 ‘쌀 1500kg’ 기증 이뿐만이 아니다. 같은 날 마산회원노인종합복지관 경로식당에 ‘쌀 1500kg’도 기증했다. 이날 마산회원노인종합복지관에서 열린 쌀 기증식에는 BNK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