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4.5℃
  • 맑음강릉 19.8℃
  • 맑음서울 15.7℃
  • 맑음대전 16.6℃
  • 구름조금대구 18.0℃
  • 구름많음울산 16.7℃
  • 구름조금광주 18.6℃
  • 구름많음부산 18.3℃
  • 구름조금고창 18.0℃
  • 흐림제주 18.3℃
  • 맑음강화 13.3℃
  • 맑음보은 17.0℃
  • 맑음금산 17.9℃
  • 구름많음강진군 19.5℃
  • 구름조금경주시 19.1℃
  • 구름많음거제 18.4℃
기상청 제공

기후 · 에너지

‘BIXPO 2025’ 개막…에너지 혁신의 미래를 잇다

11월 5일부터 7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
신기술 대거 공개에 관심 쏠려..AI·수소·XR 등 최초 공개
166개 기업·기관 참여…전시관 구성도 다양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국내 최대 전력·에너지 산업 박람회 ‘빛가람국제전력기술엑스포(BIXPO 2025)’가 11월 5일부터 7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한국전력은 올해로 10회째를 맞는 BIXPO를 ‘에너지로 연결하다(Connect Everything with Energy)’라는 주제로 개최하며, 기술과 산업, 지역과 세계를 하나로 잇는 글로벌 융복합 에너지 축제로 꾸민다.


개막식에는 김 용 전 세계은행 총재가 기조연사로 나서 에너지 전환의 필요성과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행사에는 정·관계 인사, 국내외 전력사 CEO, 주한 대사, 대학 총장 등 약 7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개막식 이후에는 ‘신기술 언팩(Un-packed)’ 행사가 이어지며, 리벨리온, 빈센, 버넥트, GS건설과 HD현대인프라코어가 공동으로 참여해 AI 추론 반도체 ‘리벨쿼드’, 수소연료전지 선박, XR 기술, 산업안전 솔루션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처음으로 선보인다.


올해 BIXPO에는 국내외 166개 기업과 기관, 지자체, 대학 등이 참가하며, 전시관은 총 4개로 구성된다. 한전의 미래 에너지 비전을 담은 ‘KEPCO관’, 10개 광역 지자체의 특화산업과 중소벤처기업 제품을 소개하는 ‘지역특화산업관’, 글로벌 유니콘 기업과 CES 혁신상 수상 기업이 참여하는 ‘글로벌 리더관’, 그리고 AI·로봇·에너지 융복합 기술을 선보이는 ‘딥테크 스타트업 특별관’이 운영된다.


LS그룹, 포스코,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등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도 함께 참여해 에너지 산업의 전 밸류체인을 아우르는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회장 내 ‘Insight Square’에서는 ‘Future TIPS League’, ‘나의 성공 스토리’, ‘초격차 스타트업 IR’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중소벤처기업들에게 투자 유치와 경영 인사이트,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한다.


41개의 전문 컨퍼런스도 함께 열리며, 6일에는 ‘Powering AI, Energizing the Sustainable Future’를 주제로 ‘에너지 리더스 서밋’이 개최된다. 이 자리에서는 S&P Global의 로건 리스(Logan Reese) 이사가 기조연설을 맡는다.


‘KEPCO R&D 컨퍼런스’에서는 DC 그리드, 차세대 전력망, AI 융합 기술 등 5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한전의 연구개발 성과와 비전을 공유하며, 산·학·연 전문가 300여 명이 전력망 혁신과 탄소중립 조기 달성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한전과 공공기관 직원, 대학생들이 발명한 78개의 우수 발명품이 전시되는 ‘발명기술혁신대전’에서는 올해 처음으로 ‘품질혁신관’을 마련해 한전의 품질관리 우수 사례도 함께 소개된다.


공기업 최초로 열리는 ‘TEDx KEPCO’에서는 ‘xSolution’을 주제로 AI, 인문 등 6개 분야 전문가들이 기후위기, 인간관계, 사회 불균형 등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다.


또한 7개국 16개사의 바이어가 참여하는 수출상담회를 통해 해외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지원하며, 나주 혁신도시 공기업과 지역 50여 개 유망기업이 함께하는 일자리 박람회도 열려 지역 인재와 기업을 연결하는 상생의 장이 마련된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올해 BIXPO는 지난 10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10년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전환점”이라며 “에너지 신기술과 지역, 사람을 연결하는 축제로 발전시켜 글로벌 수준의 지속가능한 성장모델을 제시하고, 에너지를 통한 국가균형발전과 ‘K-에너지 허브’로서의 역할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