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1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0℃
  • 맑음강릉 19.0℃
  • 구름조금서울 17.6℃
  • 흐림대전 18.3℃
  • 구름많음대구 21.8℃
  • 구름많음울산 20.9℃
  • 흐림광주 17.6℃
  • 흐림부산 18.8℃
  • 흐림고창 15.5℃
  • 구름많음제주 17.6℃
  • 구름많음강화 16.4℃
  • 구름많음보은 17.9℃
  • 구름많음금산 16.7℃
  • 흐림강진군 18.2℃
  • 구름많음경주시 22.9℃
  • 흐림거제 19.2℃
기상청 제공

대전시, 지방행정의 달인 최초 배출

복지정책과 박희용 주무관, 행정자치부 주관 지방행정의 달인 선정


(미디어온) 대전광역시는 행정자치부 주관 대한민국 최고 행정전문가를 선발하는‘제6회 지방행정의 달인’(문화관광분야 의료관광의 달인)으로 복지정책과 박희용 주무관이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대전시청 공무원이 지방행정의 달인으로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방행정의 달인은 행정자치부에서 전국 36만 명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전문성, 열정으로 국가와 지역사회에 기여한 최고의 공무원을 뽑아 시상하는 상으로 개인 실적심사, 현지실사, 발표심사 등 심층검증을 통해 올해 13명이 선정되었다.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시상식이 개최되어 박희용 주무관은 지방행정의 달인 인증패를 수상하였으며, 대전시에는 지방행정의 달인 배출기관 현판이 수여되었다.

박 주무관은 의료관광 불모지인 대전에서 5년간 다양한 의료관광 시책개발로 복지부, 농림부, 국토부, 행자부 등 4개 중앙부처 공모사업을 유치하여 사업비 95억 원 확보 및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외국인환자 27,953명과 의료관광객 95,038명을 유치하여 외국인환자 진료수익 550억 원과 관광수입 530억 원을 확보했다.

의료관광을 통한 1,462명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의료관광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어 국무총리 기관표창과 국토부장관 표창을 수상하였다.

지방의 작은 중소병원을 세계적 병원으로 육성하여 일자리 창출공로로 대통령표창과 철탑산업훈장을 수상하기도 했다.

지방행정 발전 부문에서도 2008년 전국 최초로 주민참여자치기본조례를 제정하여 주민참여를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계족산 황톳길 숲속음악회 기획·추진, 계족산 황톳길 등 생태자원 발굴로 대통령기관표창 수상 등 지역발전을 위한 다양한 시책개발·추진을 통해 시민행복을 위해서도 앞장서왔다.

박 주무관은“공무원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했을 뿐인데 이렇게 큰 상을 받게 되어 어깨가 더욱 무겁다”며“앞으로도 시민이 행복한 대전시가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각오를 전했다.

한편, 박 주무관은 6월부터는 자리를 옮겨 공공의료시설인 대전의료원 설립 업무에 집중하고 있다.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중견기업계 윤석열 정부에 바램 "새로운 경제기틀 서둘러야" [산업경제뉴스 박진경 기자]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최진식 회장 명의의 공식 논평을 통해 “윤석열 정부 출범을 진심으로 축하하며, ‘다시 도약하는 대한민국, 함께 잘 사는 국민의 나라’ 국정 비전이 표현하듯, 국익, 실용, 공정, 상식을 중심에 세운 대한민국 대전환의 소명을 온전히 이뤄낼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 최 회장은 “팬데믹이 남긴 국민의 상흔을 세심하게 위무하고, 희망의 미래상을 제시함으로써 대한민국 재도약의 역사적 분기를 이뤄내야 한다”라면서, “대통령 선거에서 발현된 집단지성의 가치로서 정의와 포용의 당위를 숙고하고, 산적한 갈등을 적극 해소해 잃어버린 사회적 활력을 시급히 되살려 주길 바란다”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항산恒産이어야 항심恒心이라는 가르침에서 보듯, ‘밥’은 생명이자 존엄, 긍지이자 보람이라는 명확한 인식 아래, 국가 번영의 토대로서 새로운 경제의 바람직한 기틀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최 회장은 “경제의 핵심 주체이자 국부의 원천인 기업의 진취성을 극대화하고, 민간과 정부가 함께 뛰는 역동적인 성장 패러다임을 확립하는 데 전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면서, “법·제도의 합리성을 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