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산업ㆍ경제

비즈니스북스, ‘앞으로 5년, 빚 없는 사람만이 살아남는다’ 출간… 돈 걱정 없는 노후를 위해 지금 당장 알아야 할 부채 관리 전략


(미디어온) 금리 급상승 시대에 엄숙히 경고를 던지는 ‘앞으로 5년, 빚 없는 사람만이 살아남는다’가 비즈니스북스에서 출간됐다고 밝혔다.

빚 지기 쉬운 세상이다. 금리는 상승하고 집값은 하락하고 소득은 제자리인 현재, 가정 경제는 상당히 위험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는 금리 인상을 단행했고 2017년에만 두 차례 더 추가 인상이 계획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금융권의 금리 인상이 가속화되는 ‘금리의 역습’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믿었던 집값마저 떨어진다면 어떻게 될까.

‘앞으로 5년, 빚 없는 사람만이 살아남는다’는 25억이 넘는 거액의 빚을 떠안았던 채무자에서 지금은 억대 연봉을 받는 재무 상담사 김의수, 35억이 넘는 빚을 떠안았던 채무자에서 자산관리 회사의 CEO로 거듭난 백정선 저자가 공동 집필했다. 두 저자는 가계 부채의 심각성을 하루빨리 인지하고 대책을 강구할 것을 강조한다. 또한 새로운 시대에 달라져야 할 재테크 전략으로써 ‘부채 관리’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지금과 같은 심각한 가계 부채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은 ‘빚 권하는 사회’에 있다. 70%까지 빚을 끌어와 마련한 내 집, 신용 대출로 월 30만원만 내면 손에 넣을 수 있는 자동차, 지금 당장 돈이 없어도 ‘할부’만 있다면 살 수 있는 해외 항공권, 월급날 통장 잔고 0원을 찍어도 한 달을 버틸 수 있게 해주는 신용카드와 각종 현금 서비스, 전화 한통이면 10분 안에 몇 백부터 몇 천까지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돈을 빌려준다는 대부업체까지 ‘대출 없는 게 비정상’으로 보이는 이런 사회 시스템 속에서 사람들은 쉽게 빚지는 것을 정당화했고 빚에 둔감해갔다. OECD 국가 기준 노인 빈곤율 1위 국가인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가계 부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노후파산은 더 일찍, 더 심각하게 다가올 것이다.

이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빚 권하기’가 일상이 된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들과 부채 실태를 점검하고 있다. 제2장은 부채 정리를 위한 1단계로 살면서 빚을 지게 만드는 요인들을 조목조목 살펴본다. ‘제3장은 부채 정리를 위한 2단계로, 빚지지 않는 습관과 빚지지 않는 재무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한다. 제4장은 본격적인 노후 준비에 관해 이야기하는 장으로 중년 이후의 지출 관리, 노후 준비를 위해 필요한 저축 전략, 보장성 보험 구조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초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이제 우리에게는 새로운 재테크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 왔다. 진짜 부자가 되는 길은 부채가 만드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내 돈을 지키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앞으로 5년, 빚 없는 사람만이 살아남는다’에서 알려주는 단계별 부채 관리 전략을 통해 돈 걱정 없는 삶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어 보길 바란다.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SBA, 서울에너지공사와 맞손...에너지·환경 분야 실증 지원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서울시의 미래 혁신성장 동력을 만드는 중소기업 지원기관 서울경제진흥원(대표이사 김현우, 이하 ‘SBA’)과 서울에너지공사(사장 황보연, 이하 ‘공사’)가 에너지·환경 분야에서 미래 혁신을 이끌 민간 기술 지원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지난 10일 서울창업허브 엠플러스에서 'ESG 개방형 테스트베드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협력에 나선 것인데, 이번 협약은 공사가 보유한 에너지 인프라를 민간에 개방형 테스트베드로 제공하고, SBA가 기술 공모, 사업화 연계 등 기업지원에 협력하는 공공-민간 협력형 실증 모델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SBA는 기술 공모 및 사업화 연계를 주도하고, 공사는 전기차·수소차 충전소, 열수송관,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에너지 인프라를 개방해 테스트베드로 제공할 계획이다. 그동안 기술은 갖췄으나 실증 공간이 부족해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많은 혁신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성장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증 대상은 탄소 저감, 에너지 효율 향상, 설비 국산화 등 ESG 가치 실현과 직결되는 기술들이며, 우수 기술에 대해서는 판로 개척 및 사업화 등의 연계지원도 이뤄진다.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