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전 세계 67개국을 대상으로 한 기후변화 대응 평가에서 63위를 기록하며 사실상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자료=CCPI ]](http://www.biznews.or.kr/data/photos/20251147/art_17635229423085_91fa8f.png)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한국이 전 세계 67개국을 대상으로 한 기후변화 대응 평가에서 63위를 기록하며 사실상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재생에너지 확대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모두 국제 기준에 크게 못 미친다는 혹평 속에, 기후정책의 실행력 역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이 같은 결과는 지난 11월 18일, 독일 본(Bonn)에서 열린 COP28 연계 행사에서 발표된 ‘기후변화대응지수 2026(Climate Change Performance Index 2026, CCPI)’ 보고서를 통해 드러났다. 독일의 환경단체 저먼워치, 뉴클라이밋, 기후행동네트워크(CAN)가 공동으로 발표한 이 보고서는 파리기후협약 채택 10주년을 맞아 전 세계 주요국의 기후 대응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이 지수는 각국의 기후 대응 수준을 온실가스 배출량, 재생에너지 비중, 에너지 사용량, 기후정책의 네 가지 항목으로 나눠 분석하며, 각각의 항목은 통계 자료와 전문가 평가를 바탕으로 점수가 매겨진다. 온실가스 배출은 전체 점수의 40%를 차지하고, 나머지 세 항목은 각각 20%씩 반영된다. 이를 통해 국가별 순위가 결정된다.
보고서는 한국의 기후 대응 수준을 네 가지 항목으로 나눠 분석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재생에너지 비중, 에너지 사용량 등 세 부문에서는 모두 ‘매우 낮음(very low)’이라는 최하 등급을 받았고, 기후정책 부문에서도 ‘낮음(low)’ 수준에 머물렀다. 이러한 평가는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온실가스 감축 속도는 국제 기준에 크게 못 미쳤고, 에너지 소비 구조 역시 효율 개선이 더디다는 지적이 있었다. 특히 재생에너지의 경우, 전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여전히 한 자릿수에 머물며 OECD 국가 중에서도 하위권에 속했다.
기후정책 부문에서는 배출권거래제나 재생에너지인증서(REC) 등 제도적 장치는 갖추고 있으나, 실질적인 감축 효과를 내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다. 보고서는 한국 정부가 2026년 초까지 2031~2049년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을 법제화해야 하며, 2035년까지 최소 61%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기후 대응을 평가하면서 2023년 9월 헌법재판소의 판결도 함께 언급했다. 당시 재판소는 정부의 기후 대응 부실을 위헌으로 판단하며, 기후권을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정했다. 보고서는 이를 “획기적인 결정”으로 평가하며, 향후 한국의 기후정책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계기로 해석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기후 대응 부진을 지적했다. 어느 나라도 파리협약의 1.5도 목표에 부합하지 못했다며 상위 1~3위를 공석으로 남긴 것이다. 이는 전 세계가 여전히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다는 상징적 메시지로 읽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국가들도 있다. 덴마크가 4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으며, 영국, 모로코, 스웨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국가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석탄발전 중단, 기후정책의 실행력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반면 미국은 65위, 러시아는 64위로 한국과 함께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중국은 54위로 중하위권에 위치했다. 녹색 기술에서는 선도적이지만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가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마지막으로 전 세계적인 경고를 던졌다. “1인당 온실가스 배출은 감소하고 있고, 재생에너지 사용은 증가하고 있다”면서도, “기후위기 대응 속도는 여전히 느리다”고 지적했다. 100개국 이상이 넷제로(Net Zero) 목표를 설정했지만, 실질적인 이행은 더디며, 파리협약의 온도 목표 달성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고는 단순한 수치나 순위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보고서는 “기후 리더십의 공백”을 지적하며, 국제사회가 보다 야심찬 목표와 강력한 정책 실행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한국가스공사(사장 최연혜)는 11월 18일 대구 엑스코에서 화성밸브㈜를 비롯한 35개 중소 협력사와 함께 ‘2025 KOGAS 동반성장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정부의 국정 목표인 ‘모두가 잘 사는 균형성장’에 발맞춰 마련된 자리로 가스공사는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위한 추진 전략을 소개하고, 현재 운영 중인 다양한 상생 사업의 현황을 공유했다. 또한 주요 해외사업을 소개하고 중소기업과의 해외 동반 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정부가 추진 중인 중소기업 혁신성장 지원 플랫폼인 ‘중소기업기술마켓’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가스공사 발주부서와 중소기업 담당자 간의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한 구매 상담회를 총 36차례 진행했다. 이 플랫폼은 공공기관이 중소기업의 우수 기술과 제품을 직접 검증하고 등록함으로써 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온라인 기반 제도다. 가스공사는 이번 상담회를 통해 뛰어난 기술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이 실질적인 매출 증대와 같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앞으로도 중소 협력사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자조금과 이명우 교수에 따르면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라는 설명이다. ■ 자원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는 14일 서울 엘타워에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제도 공청회 및 추진 전략 토론회’를 열고, CCU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초안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달성을 위한 핵심 기술로 떠오른 CCU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arbon Capture Utilization, CCU)은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항공유나 메탄올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단순한 탄소 감축을 넘어, 유럽연합의 탄소 국경조정제도(CBAM)나 지속 가능 항공유(SAF) 사용 의무화 등 강화되는 국제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CCU를 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11대 핵심 분야 중 하나로 지정하고, 최대 670만 톤의 감축 목표를 설정했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2026년까지 CCU 관련 연구개발 예산을 41% 증액하고, 대규모 실증사업과 제도 구축을 통해 산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공청회에서는 두 가지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는 가축분뇨를 활용한 고체연료 생산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개정하고, 오는 18일부터 12월 27일까지 입법예고에 들어간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개정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축산계 비점오염원 저감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개정안의 핵심은 고체연료의 생산 기준을 완화하고, 생산 방식의 유연성을 높이는 데 있다. 기존에는 고체연료를 압축된 펠릿 형태로만 생산해야 했지만, 앞으로는 성형하지 않은 형태도 허용된다. 이는 생산 과정에서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또한 고체연료의 성분 기준 중 하나인 저위 발열량 기준도 현실에 맞게 조정된다. 가축분뇨만으로 만든 단일연료는 2,000kcal/kg 이상, 보조원료를 섞은 혼합연료는 3,000kcal/kg 이상이면 고체연료로 인정받을 수 있다. 혼합연료의 경우, 전체 성분 중 60% 이상이 가축분뇨여야 하며 나머지는 농작물 부산물, 커피찌꺼기, 초본류, 폐목재, 톱밥 등 다양한 유기성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고체연료 생산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인·허가 기준도 정비된다. 생산시설을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삼성중공업이 미국 친환경 에너지 스타트업 아모지(Amogy)와 전략적 협력 계약을 맺고, 암모니아 기반 발전장치 ‘암모니아 파워팩’의 국내 독점 위탁생산에 나선다. 삼성중공업은 10일 아모지와 암모니아 파워팩의 국내 제조 및 생산을 위한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삼성중공업은 최소 3년간 아모지 제품의 국내 독점 생산권을 확보하게 된다. 암모니아 파워팩은 암모니아에서 추출한 수소를 활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로, 탄소 배출이 없는 친환경 발전 시스템이다. 선박용 발전기뿐만 아니라 육상용 발전기에도 적용 가능해 청정 동력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2월 아모지와 선박용 차세대 암모니아 발전시스템 개발 계약을 체결한 이후, 전담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테스트 기준과 프로토콜 개발, 제조 장비 및 공급망 구축 등 협의를 이어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삼성중공업은 아모지의 육상용 크래킹(Cracking) 모듈 양산 및 최적화에도 협력하며, 거제조선소 내 암모니아 실증 설비를 연말까지 증설해 제품 생산과 검증에 활용할 계획이다. 본격적인 위탁생산은 2026년부터 시작된다. 이호기 삼성중공업 친환경연구센터장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식음료, 뷰티 등 유통업계가 가을시즌을 보내며 김장봉사에 환경정화, 각종 기부 활동 등 다방면에 걸친 ESG 경영을 최근까지도 펼친 것으로 알려져 훈훈함을 다하고 있다. 이는 유통업계의 리딩기업으로서 영리 활동과 더불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까지 이행하려는 행보여서 눈길을 끈다. 동서식품, 다문화·한부모 가정과 함께하는 김장 봉사활동 진행 동서식품(대표 김광수)은 지난달 28일 서울시 마포구 대흥동주민센터에서 다문화·한부모 가정과 함께하는 김장 봉사활동을 펼쳤다. 이번 봉사는 본격적인 겨울을 앞두고 직접 김장을 준비하기 어려운 이웃들에게 따뜻한 나눔을 전하기 위해 기획됐는데, 이날 동서식품 직원들은 다문화 및 한부모 가정의 어머니들과 함께 김치를 담갔으며, 완성된 김치를 지역 내 취약계층 가구에 전달했다. 이외에도 동서식품은 매월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직원 봉사활동은 물론, 임직원들이 쉽게 기부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부 플랫폼을 운영하고 매칭 그랜트로 함께 하는 등 다양한 나눔 활동을 꾸준히 펼치고 있다. 매일유업, ‘카카오같이가치’와 재난지역 어르신 위한 기부 캠페인 실시 매일유업(대표 김선희, 곽정우, 이인기)은 카카오의 사회공헌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현대로템이 이집트 신행정수도에 도입이 예상되는 수소전기트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현대로템은 지난 9일부터 오는 11일까지 이집트 뉴카이로 소재 국제전시센터(Egypt International Exhibition Center, EIEC)에서 열리는 현지 최대 교통물류 전시회 ‘TransMEA(Smart Transport, Infrastructure, Logistics & Traffic for the Middle East & Africa) 2025’에 참가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현대로템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수소 브랜드 ‘HTWO’와 연계해 ‘수소 밸류 체인(Value Chain)’을 주제로 수소 생산부터 활용까지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이집트 정부가 수도 카이로 동쪽에 약 700㎢ 규모로 조성 중인 신행정수도에 수소전기트램 도입을 추진 중인 가운데, 현대로템은 상용화된 수소전기트램 기술과 인프라 구축 역량을 앞세워 선제적 영업 활동에 나섰다. 현대로템은 관람객들이 수소전기트램을 보다 직관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피라미드, 스핑크스 등 이집트 랜드마크를 배경으로 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