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정부가 앞으로 추진할 120대 국정과제 중 재생에너지 비중을 획기적으로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관련 설비 제조업체들에 주목하라는 보고서가 나와 투자자 관심을 모으고 있다.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한병화 연구원이 최근 보고서(국내 재생에너지:2025.09.22.자)에서 이와 같은 의견을 개진한 것인데,
보고서에 따르면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재생에너지 설치가 현실적인 전원 확대 방안이라고 언급한 데 이어 주무 장관도 2030년 재생에너지 설치목표 상향을 공론화하고 있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의 2030년 누적 재생에너지 설치 목표치는 78GW 인데, 이를 100GW 수준으로 상향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대한민국이 재생에너지 확대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는 경쟁국들 대비 지나치게 부족하기 때문이다.
2024년 OECD 풍력, 태양광 전력 비중은 27%였고, 올 6월에는 36%까지 상승했다. 우리나라의 지나치게 낮은 재생에너지 비중은 우리가 국제사회에 약속한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는 물론 RE100, 탄소국경조정제도 등으로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에도 심각한 피해를 준다.
이에 우리나라는 단기에 재생에너지를 대폭 확대해서 경쟁국들과의 격차를 줄여야 한다는 것이 한 연구원의 판단이다. 특히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 확정으로 국내 재생에너지 시장 규모는 기존 대비 2~3배 커질 것으로 판단되고, 이에 따라 풍력, 태양광 단지 개발하는 업체들의 정책 수혜가 클 것으로 내다봤다.
재생에너지 확대 겨냥한 정부의 각종 지원 정책들 집중될 듯
이에 따라 연내에 RE100 산단 특별법, 영농형 태양광법이 확정될 것으로 보이며 내년 3월부터 시행되는 해상풍력특별법까지 포함하면 풍력, 태양광이 규모 있게 증가할 법적 토대는 마련된 상태라는 설명이다.
또한 정부는 단기간에 설치량 확대를 위해 전력망 여분을 확보하는 동시에 동기조상기, 대규모 ESS 설치를 통해 망 유연성 확보작업을 시작했다. 에너지 고속도로가 완성되는 2030년 이전에 재생에너지 설치를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
이를 위해 ▲해상풍력 단지 및 전용 항만 조성 ▲영농형·수상·산단 등 태양광 입지 확대 ▲RE100산단으로 지역 균형성장 지원, ▲햇빛·바람 연금확대 및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을 이루겠다는 것이 정부의 큰 그림이라는 설명이다.
풍력, 태양광 단지 건설 및 운영중인 민간개발업체들이 정책 최대 수혜

이에 따라 한 연구원은 국내서 풍력, 태양광 단지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사업을 주로 하는 민간개발업체들이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정책의 최대 수혜주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풍력, 태양광 연간 시장 규모는 설치량 기준으로 보면 2025년 약 5조원에서 2030년 15 조원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추정되는데, 여기에 ESS 와 연료전지까지 추가하면 시장의 규모는 20 조원에 육박할 수도 있다는 것.
이와 관련된 대표 주식으로는 SK이터닉스, 대명에너지, 금양그린파워를 꼽을 수 잇는데, 이중 SK이터닉스는 풍력, 태양광, 연료전지, ESS 합쳐서 3GW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고, 대명에너지는 풍력 위주로 총 1.8GW의 단지를 운영하거나 개발 중에 있다.
또 금양그린파워는 재생에너지 단지 전기공사를 주로 하다가 개발사업에 진입해서 풍력, 태양광, 연료전지 1.1GW 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유진투자증권 한병화 연구원은 “오는 2030년까지 국내 시장이 3배 이상 확장된다면 이들의 기업가치 상승도 동반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