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후의 세계를 다룬 영화 '신과 함께 - 죄와 벌'이 13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영화의 인기와 함께 사후세계와 지옥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죽은 후의 세계는 무엇일까? 동서양의 많은 종교와 신화·전설에는 죽은 후의 세계를 다양하게 규정하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 많은 용어를 사용한다. 그 중에서 우리 민족이 사용해 온 용어에 나타난 사후 세계를 살펴 보도록 하겠다. 2016년 인기리에 방영됐던 드라마 "도깨비"에는, 사람이 죽으면 차를 한 잔 마실 수 있는 카페로 안내되는 장면이 나오는데 저승사자는 죽은 이에게 "저승에서 명부가 도착했다"라는 말로 죽음을 알린다. '저승'은 저곳의 삶이란 뜻으로 이곳의 삶인 '이승'과 반대 개념이다. 여기서 명부는 '이름의 장부'란 뜻으로 명부(名簿)를 말하지만 실은 저승을 이르는 또 다른 용어로도 명부(冥府)가 쓰인다. 어두울 명, 마을 부라는 글자를 가져와 어두운 마을이라는 뜻으로 사후의 세계를 설명한다. 저승과 명부 외에 죽은 후의 세계를 일컫는 또 다른 용어를 보면 우리에게 많이 익숙한 황천(黃泉)이라는 말도 있다. 중국 오행(五行)에서 땅의 색깔이 노랗다는데서 나왔다하니 지천(地泉)으로 바꾸어도 되겠다.'
앞서 소개한 '한국 성명학의 주류'에서는 우리나라에 전해 오는 성명학에 ① 자원오행(字源五行) 성명학, ② 발음오행(發音五行) 성명학, ③ 수리(數理) 성명학, ④ 파자측자(破字測字) 성명학 등 4가지 성명학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을 설명했다. 이번에는 실제 이름을 예로 들어 앞서 설명한 네 가지 작명법이 어떻게 적용되고 풀이되는지 살펴본다. 이름은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홍길동(洪吉童)을 예로 들었다. ■ 성명학이 풀이하는 '홍길동(洪吉童)'의 길흉(吉凶) 먼저 ① 자원오행(字源五行) 성명학에서 홍길동이란 이름을 어떻게 평가하고 판단하는 지 알아 보겠다. 자원오행 성명학은 이름의 한자(漢字)를 오행(五行 : 火, 水, 木, 金, 土)으로 변환해 상생과 상극의 관계로 길흉을 판단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洪은 오행의 水에 해당하고, 吉도 水, 童은 金에 해당한다. 각 글자 별 오행과 오행간의 생과 극은 그 종류가 워낙 많아 여기서 다 설명할 수 없고 결과만을 요약하면 홍길동은 역(逆)으로 금생수(金生水)로 해석되어 상생(相生)의 관계라고 풀어 길(吉)한 이름으로 판단된다.다음은 ② 발음오행(發音五行) 성명학의 방법을 홍길동이란 이름의 초성에만 적용해
얼마전 개인적인 일이 있어 일본 교토(京都)를 다녀왔다. 지인들과 저녁식사를 하고 숙소로 돌아와 집에서 늘 하던대로 텔레비전부터 켰다. 아직 유창하지 못한 일본어지만 그래도 세상 돌아가는 게 궁금해 뉴스채널을 골랐다. 우리와 마친가지로 일본뉴스도 끝무렵에는 내일의 날씨를 알려줬다. 그런데 내일의 날씨예보에 기대치 못했던(?) 나이들어 보이는 아저씨의 모습이 불쑥 나타나 묘한 호기심(好奇心)과 과거 기억을 자아냈다. 7, 80년대 기상청 통보관으로 브라운관을 주름잡았던 우리나라의 김동완(35년생)씨가 떠올랐다. 그때만 하더라도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이 없던 시대라 내일의 날씨에 관해서는 김 통보관이 전하는 날씨 예측이 거의 신(神)의 말씀처럼 받아들여졌던 기억이 났다. 열어놓은 장독뚜껑과 밖에 널어놓은 빨래 걱정을 함께 해준 그는 단순히 날씨 전달자가 아닌 기상 과학자이자 스토리텔러로서 공무원 신분까지 더해져 당시 국민들의 신뢰와 인기를 한 몸에 받았었다. 언제부턴지 우리의 날씨예보는 '기상 통보관'이 아닌 '기상캐스터'란 직업명을 갖춘 분들이 하게 됐다. 대부분 기상캐스터는 눈에 확띄는 미모를 자랑하는 젊은 여성들로 구성돼 뉴스 말미 시청자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좋은 이름이란 무엇일까. 필자가 명리학을 공부하다 보니 주위의 친지나 지인들로 부터 아들이나 손자의 이름을 어떻게 지었으면 좋겠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이런 질문을 받으면 선듯 이름을 지어줄 수도 없는 노릇이라 그저 '부르기와 듣기에 무리(無理) 없는 이름이 좋은 이름이라'고 조언 아닌 조언(?)을 한다.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전통적으로 전해져 오는 성명학(姓名學)이 있다. 이에 따르면 이름이란 부르기 좋고 듣기 좋아야 할 뿐만 아니라 한 글자 한 글자의 의미가 좋아야 하고 글자 사이에도 서로 조화를 이뤄야 한다고 설명되어 있다. 또 사주(四柱)에 부족한 오행(五行)을 보충할 수 있는 글자를 선택해 큰 재앙이나 화를 면하는 방법도 연구되어 있다. 한 사람의 운명을 좌우할 수도 있는 이름. 예로부터 전해져 오는 좋은 이름을 짓는 방법을 살펴보고 실제 이름을 예를 들어 작명법에 따라 어떻게 적용하고 풀이하는지 알아본다. ■ 한국 성명학(작명법)의 주류(主流)“이름 짓다”를 한자로 표현하면 <지을 작, 이름 명>자를 사용해 ‘작명(作名)’이라 하고 이 작명을 연구하는 학문을 성명학(姓名學)이라 한다. 이웃나라 중국에서는 '지을 작' 대신에 '일어날 기'를
얼마전 지인이 주관하는 세미나가 남한산성 인근에서 개최돼 내친김에 남한산성을 다녀왔다. 마침 북문(北門) 쪽에 남한산성행궁(行宮)이 있어 그쪽으로 방향을 틀어 행궁앞에 서니 안내판에 행궁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설명을 읽으며 유독 필자의 눈에 들어 온 것은 행궁을 영문으로 'Emergency Palace' 라고 표기한 것이었다. 비상궁(非常宮)이라고? 호기심을 풀고 싶은 마음에 표를 사서 안으로 들어가 봤다. 행궁안에는 관람객을 위한 해설자가 계셔서 보다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어는데 행궁의 역사와 의미에 대해 아주 재밌게 설명을 해주셔서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행궁(行宮)은 왕의 나들이 행차(行次), 요양 또는 여행(旅行)을 목적으로 한 궁궐로, 현대식 개념으론 왕의 호텔, 별장(別莊)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행궁은 전국에 스무여개가 있었는데 남한산성만이 종묘(宗廟)의 위패(位牌)를 모실 수 있는 시설을 갖춘 유일한 행궁이라고 한다. 종묘의 위패가 있는 곳은 임시수도가 될 수 있는 곳이라 한다. 하지만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년) 당시에도 위패는 이곳으로 까지 오지 않았다고 한다. 실재로 이전에도 이후에도 위패가 남한산성행궁
동양철학의 바이블(Bible)로 평가받는 주역(周易)은 점서(占書)인 '역경(易經)'과 그 해설서 겸 철학서인 '역전(易傳)'으로 양분(兩分)되며 역전은 십익(十翼)이라고 하여 일곱 종류의 열 편(七類十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주역은 학(學)과 술(術)의 분야로 나뉘게 되는데, 학은 주역 속에 담겨 있는 도리(道理)를 연구하는 것이고, 술은 주역을 이용하여 인사(人事)의 길흉을 추측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역의 가치는 학에 있지 술에 있는 것이 아니다. 공자(孔子)는 주역을 공부하는 목적이 큰 잘못을 범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지, 개인의 길흉화복을 점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주역의 의리(義理)를 깨닫게 되면 점은 칠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또한 순자(荀子)는 "역을 잘 이해하는 사람은 점치지 않는다"고 하였다. 한대(漢代)의 학자 가의(賈誼) 역시 당시의 점치는 사람들을 가리켜 자신들의 말재주를 바탕으로 남의 비위를 맞춤으로써 재물을 빼앗는 자들이라고 하면서 그들을 부끄러움을 모르는 비천한 무리라고 비판하였다. 그러므로 주역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학과 술을 구분하여 역학(易學)을 점치는 것으로 잘못 인식하지 않도록 하는 것
우리민족은 예로부터 '배달민족'이라 하였다. 우스갯소리로 '배달의 민족'이라 하면서 '배달'을 Delivery의 뜻인 배달(配達)로 부르곤 하였는데, 어느듯 IT의 진화와 맞물려 결국엔 앱(App)의 모습으로 나타나니 어쨋든 '배달'은 여러모로 우리나라와 인연이 있는 단어임은 분명하다. '배달'을 제대로 살펴보면,배(倍)는 곱 갑절을 뜻하는데. 또다른 의미로 '햇무리'의 뜻이 있으니 배달(倍達)은 '햇무리에 도달'하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햇무리'는 해의 둘레에 둥글게 나타나는 빛깔이 있는 테두리를 말하는데 통상 사람의 맨눈으로 해를 똑바로 바라보기는 힘들기 때문에 잘 볼 수가 없다. 맑은 날에는 너무 눈이 부시고, 그렇지 않을 때는 구름 속에 숨어버리니 신비감마저 있다. 바라보기도 힘든데 도달까지 한다니 '배달'의 뜻은 생각과 달리 참으로 위대하다.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치킨, 커피전문점 등 프랜차이즈업계가 자사 가맹점주들과의 동반성장 및 상생경영을 위한 다양한 행보로 분주하다. 이는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실적과 성장에 절대적 기여를 하는 가맹점과의 소통을 통해 소비자 최접점에 있는 가맹점주들의 애로나 건의 사항 등을 청취해 정책개선에 반영하는 등의 발전적 패밀리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지속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당연한 행보가 아니냐는 평가다. ‘패밀리와 상생으로 함께 여는 30주년’...BBQ, 올해 첫 동행위원회 개최 치킨 프랜차이즈 제너시스BBQ 그룹은 지난 22일 윤홍근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과 전국 패밀리를 대표하는 30여명의 동행위원, 부서별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도 이천시 소재 BBQ 치킨대학에서 올해 첫 동행위원회 총회를 개최했다. 제너시스BBQ 그룹은 지난 1997년부터 본사와 패밀리 사이에 합리적이고 투명한 경영 환경을 만들고자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 최초로 ‘운영위원회’를 설치했다. 이후 2017년엔 패밀리는 '동'으로 본사를 '행'으로 하는 '동행위원회'로 발전시켜 보다 적극적으로 발전 방향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며 패밀리와의 동반성장에 힘쓰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올해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매일유업(대표 김선희, 이인기, 곽정우)이 5월 5일 어린이날을 맞아, 항암치료를 받으며 힘들어 하는 아이들을 위해 상하목장 얼려먹는 아이스크림과 얼려먹는 요구르트 엔요 제품 6천개를 연세대학교 의료원 연세 암병원에 지원했다. 지난 22일, 연세 암병원에서 매일유업 상하목장 얼려먹는 아이스크림 담당자와 연세 암병원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제품 전달식을 가진 것. 소아암 환아들은 치료과정에서 면역력이 떨어져 무균식 식사를 해야 하고 때로는 항암제 부작용으로 인해 오심, 구토 및 입이 헐어 제대로 식사를 못하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간식도 마땅하게 마음 놓고 먹이기가 쉽지 않은데, 멸균 처리되고 취급이 편리한 상하목장 얼려먹는 아이스크림 등은 환아들에게 필요한 고영양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힘든 항암치료를 받는 아이들에게 큰 위로가 될 것으로 매일유업 측은 기대하고 있다. 연세암병원 소아청소년암센터 한정우 센터장은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환자들은 특히 안전한 식품을 골라야 하기 때문에, 무엇을 건강하고 맛있게 먹을 수 있을 지 항상 고민이 된다. 이번처럼 멸균 제품으로 안정성까지 갖추면서 아이들이 좋아하는 아이스크림 간식을 환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를 지향하는 투썸플레이스(대표 문영주)의 사내 봉사단 ‘투썸위드유’가 지난 18일, 서울 중구 일대에서 환경보호와 자원순환의 가치를 실천하기 위한 플로깅 활동을 진행했다. 투썸에 따르면 ‘투썸위드유(TWOSOME WITH YOU)’는 임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구성된 사내 봉사단으로, 투썸플레이스는 이들과 함께 지역사회에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다양한 지역 친화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봉사활동도 도심 환경을 가꾸는 플로깅 활동을 통해 일상 속 작은 실천이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임직원들이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이날 ‘투썸위드유’ 봉사단 60여명은 서울 중구 주요 곳곳의 쓰레기를 직접 수거하며 환경 정화에 힘을 보태며, 생활 속 환경 보호의 의미를 되새기고, 쾌적한 환경 조성에 기여하는 등 지역 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한편, 투썸플레이스는 지역사회와의 상생과 ESG 경영 실천을 위해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해 연탄을 기부하고, 직접 배달하는 봉사활동을 통해 나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DL이앤씨가 임직원을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교육’을 실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ESG 경영에 대한 임직원의 이해도를 높이고, 지속가능경영 인식을 함양하고자 마련됐다. 온라인 수강 방식으로 진행된 이번 교육은 다섯 개의 과목으로 구성됐다. ESG 경영의 개념과 목적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 부문의 핵심 사항인 기후변화, 탄소중립, 안전, 인권, 이사회 역할 등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또한 ESG 글로벌 이니셔티브,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등의 ESG 관련 실무 정보도 다수 포함하고 있다. DL이앤씨는 ‘지속가능한 글로벌 디벨로퍼(Sustainable Global Developer)’라는 ESG 비전 아래, ‘지속가능한 그린 건설’, ‘사회적 책임 이행’, ‘책임감 있는 비즈니스 수행’이라는 ESG 경영 목표를 수립해 실행하고 있다. 2024년 CP (Compliance Program) 등급 ‘AA’를 획득했으며, 5년 연속 동반성장지수 최우수 등급 획득, 4년 연속 가족친화기업인증 유지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 또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 ESG 경영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bhc·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창고43·큰맘할매순대국 등을 운영하는 종합 외식기업 다이닝브랜즈그룹이 ESG경영의 일환으로 진행한 '투게더, 위 그로우 아름다운 물품 기부' 캠페인을 성황리에 마무리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다이닝브랜즈그룹의 사회공헌 봉사단 ‘다인어스’가 주관했으며, 사람(人)과 지구(Earth)의 조화로운 성장을 추구하는 ESG 비전을 바탕으로 기획됐다. 슬로건 ‘투게더, 위 그로우’에는 지속 가능한 나눔과 상생의 가치를 실천하겠다는 다이닝브랜즈그룹의 의지가 담겼다. 3월 26일부터 4월 8일까지 진행된 기부 캠페인에는 총 332명의 참여자가 동참했고, 기부 물품은 총 1,676건으로, 의류 864건, 잡화 427건, 도서 377건, 소형가전 8건 등이 접수됐다. 특히 다이닝브랜즈그룹 임직원뿐만 아니라, 롯데타워에 입주한 입주사 직원들은 물론 타워 환경미화원들도 함께 참여하여 그 의미를 더했다. 단순히 회사 임직원들만의 선한 활동을 넘어 주변의 많은 이들이 나눔에 동참한 이번 기부는 사회공헌에 대한 공감대를 더욱 넓히고, 다이닝브랜즈그룹의 선한 활동들이 사회 곳곳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엘지유니참㈜(대표 김성원)이 자사 ‘쉐어 패드(Share Pad)’ 캠페인으로 사단법인 한국한부모가족복지시설협회에 쏘피(SOFY) 생리대 10만개와 마미포코 기저귀 3만6,000개 도합 5,000만원 상당의 위생용품을 기부했다. 지난 2013년부터 생리대와 기저귀를 지역사회에 나누는 쉐어 패드 캠페인을 진행하며 여성들의 건강한 삶과 사회 진출을 지원하고 있는 엘지유니참은 이 캠페인으로 지금까지 100만개 이상의 생리대와 기저귀를 기부했다. 이들 물품은 한부모 가족의 엄마와 아기를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엘지유니참 사회공헌 담당자는 “사회적 공헌 활동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람을 느끼고 있다”며 “엘지유니참의 선한 영향력으로 삶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힘이 되고 차별적인 고객가치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엘지유니참은 올해 100만개 이상의 위생 용품을 복지 사각 지대에 놓인 사회적 약자 등에게 기부할 계획이다.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국내 1위 캐주얼 다이닝 레스토랑을 지향하는 다이닝브랜즈그룹의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이하 아웃백)가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에게 한 끼의 소중한 가치를 전하는 활동을 전개해 훈훈함을 더하고 있다. 지난 3일 다일복지재단 밥퍼나눔운동본부에 식재료 총 119개(2,500만원 상당) 박스를 전달하며 따뜻한 한끼의 가치를 나누는 기부 활동을 전개한 것. 다양한 나눔과 기부 등으로 ‘사회적 책임’을 적극 실천하고 있는 아웃백의 이번 기부는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러브백(Love Back)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러브백’은 브랜드의 핵심 가치인 ‘좋은 음식은 좋은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정성과 따뜻함을 사회 전반으로 확장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아웃백은 해당 캠페인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곳에 실질적인 지원을 이어오고 있다. 기부 전달식은 서울 동대문구 소재 다일복지재단 밥퍼나눔운동본부에서 진행됐다. 현장에는 정필중 아웃백 사업본부장과 장임선 아웃백 운영담당 이사를 비롯해 다이닝브랜즈그룹 동반성장팀 임직원들이 직접 참여해 따뜻한 마음을 전했다. 전달된 식재료는 밥퍼나눔운동본부의 무료 급식 활용에 사용돼, 취약계층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