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현대차그룹, 뇌공학과 車산업 융합에 도전

미 브라운대와 두뇌 · 자동차 연결산업 협업‥4차산업 기술확보 집중


[산업경제뉴스 김소산 기자] 현대자동차 그룹이 뇌공학 분야의 선두주자인 브라운대학교와 뇌공학 등의 학문과 기술 접목의 파괴적 혁신을 통한 미래성장동력 발굴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19일 뇌공학, 생물학, 심리학 등 이종 분야와의 적극적인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할 역량과 기술 확보에 집중한다고 밝혔다.

 

그 일환으로 각 분야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업 프로젝트 ‘현대 비저너리(Visionary) 챌린지'를 런칭하고, 첫 번째 파트너로 미국 브라운 대학교을 선정했다.

 

브라운대학은 아이비리그 명문 사학으로, 인간의 두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차세대 신기술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분야의 선두 주자다.

 

그룹은 뇌공학과 자동차 산업 간의 연계 목적으로 브라운 대학과 협업을 진행했으며,  향후에도 이 대학과 중장기적 공동연구 과제 진행 등 교류 협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챌린지는 뇌공학, 컴퓨터공학, 생물학, 신경과학, 심리학, 의학 등 다양한 이종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자동차 산업이 가진 한계 탈피를 목적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젝트다.

 

이를 통해 현대차그룹은 기술적, 학문적 경계를 넘어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적극 수용하는 파괴적 혁신을 통해, 다가올 4차 산업 혁명을 선도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담고 있다.

 

프로젝트 초점은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주제로 △생체 모방 모빌리티 △인간과 기계 간 파트너십 △데이터 기반 개인화 서비스에 맞췄다.

 

팀원은 브라운 대학 소속 교수, 대학원생, 학부생 등 17개 팀 80여 명이 참가했으며, 최종 심사 결과 ‘박쥐의 비행원리를 활용한 항공 로보틱스’ 등 4가지 아이디어가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박쥐의 원리'는 박쥐의 신체구조 및 비행에서 착안해 향후 소형 비행체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다.

 

‘미래 가상환경에서의 상호작용 기술’은 가상현실을 통해 보행, 운전, 비행 등 다양한 이동수단이 혼재된 상황을 설정하고, 상호 간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를 분석하는 아이디어다.

 

‘증강현실을 사용한 인간-기계 파트너십 향상’은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해 인공언어가 아닌 자연언어로도 기계와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상호작용 채널의 개념을 제시했다.

 

‘운전자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생체인식 기반 피드백’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분석해 운전 중 불안감을 느끼는 상황을 특정화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자율주행차에 대한 대중의 불안감을 불식시킨다는 아이디어다.

 

그룹 관계자는 “‘현대 비저너리 챌린지’를 통해 그룹의 미래 비전을 제시해 줄 혁신적인 아이디어 발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며 “앞으로도 매년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업을 추진해 파괴적 혁신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