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세청, '부의 편법 대물림' 세무조사 착수

대기업・대 재산가 50개, ‘저인망’ 아닌 ‘현미경’ 조사


[산업경제뉴스 김대성 기자] 국세청이 대기업과 사주 일가의 '세금 없는 부의 대물림'에 대해 엄정 대응을 천명하고, 편법 상속・증여 대기업・대재산가 50개 업체에 대해 전면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국세청은 조사대상자 선정에 대해, 편법으로 경영권을 승계하기 위해 일감 몰아주기, 기업자금 불법 유출, 차명재산 운용, 변칙 자본거래 등을 일삼거나, 기업을 사유물처럼 여기며 사익을 편취한 혐의가 있는 대기업 및 사주 일가를 중심으로 정밀 분석하여 ‘핀셋’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대상을 주요 유형별로 보면, 자녀 출자법인에 대한 일감 몰아주기끼워 넣기 등을 통한 부당이득 제공,  친인척・임직원 명의의 협력업체하청업체・위장계열사 등을 이용한 비자금 조성,  차명재산의 편법 증여와 변칙 상속・증여 행위, 기업자금으로 사주일가에 대한 가공급여 지급기업 직원을 사주일가 가사에 동원한 행위 등 기업자금 사익편취가 해당된다.


국세청이 '핀셋' 선정한 각 유형별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자녀 출자법인에 대한 부당이득 제공(일감 몰아주기끼워 넣기)


A기업의 사주는 자력으로 사업운영이 불가능한 자녀에게 현금을 증여하여 법인을 설립하게 한 후 개발사업 등 일감 몰아주기를 통해 주식 가치를 증가시킨 혐의가, B기업의 경우에는 원자재 납품거래 과정에서 사주의 자녀가 운영하는 특수관계기업을 끼워 넣어 재하도급 방식으로 거래단계를 추가하여 부당이익을 제공한 혐의가 포함됐다.


또, 분할합병우회상장증자・감자 시에 주식 고저가 거래를 이용하여 부를 무상이전한 경우와, 친인척과 임직원, 외국계 펀드 명의를 동원한 차명재산의 편법 증여, 변칙 상속・증여 행위 사례도 포함됐다.

 

◆ 친인척・임직원 명의의 협력업체하청업체위장계열사 등을 이용해 (불법)자금 유출하여 비자금 조성


C기업은 사주의 친인척과 임직원이 대표인 다수의 외주가공업체에 외주가공비를 과다 지급하고 차액을 비자금으로 조성한 혐의가, D기업의 사주는 전직 임직원 등이 주주로 구성된 위장계열사를 설립한 후 용역료를 가공지급하여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가 포착됐다.


 친인척과 임직원, 외국계 펀드 명의의 차명재산(주식・예금・부동산)을 통한 차명재산 변칙 상속 ・증여


E법인 사주는 조세피난처에 설립한 회사 및 전직 임직원 등에게 분산․관리하고 있던 명의신탁 주식을 자녀에게 저가로 양도하여 우회증여한 혐의가, F법인 사주는 전직 임원에게 명의신탁한 주식을 외관상 특수관계가 없는 자녀 소유 법인에 양도를 가장하여 편법 증여한 혐의 가 발견됐다.


 분할․합병, 우회상장, 증자・감자 시에 주식 고저가 거래를 이용 부를 무상이전하는 변칙자본거래


G기업의 사주는 계열기업을 코스닥 상장기업과의 합병을 통해 우회상장하기 직전에 동 계열기업 주식을 자녀에게 양도하여 상장차익을 변칙 증여한 혐의로, H기업은 해외 현지법인의 불균등 증자 과정에 사주의 자녀를 액면가액으로 참여시켜 주식을 저가에 양도한 혐의로 조사대상에 포함됐다.


 기업자금으로 사주일가에 대한 가공급여 지급, 직원을 사주일가 가사동원 등의 사익편취


I기업은 사주 일가가 개인적으로 사용한 법인카드, 상품권과 사치품 구매 등 사적사용 경비를 대납한 혐의를,

J기업은 사주 일가가 임원 등으로 근무한 것처럼 가장하여 수년간 지속적으로 고액의 급여를 지급한 혐의를 받고 있다.




국세청 관계자는 "이번 동시 세무조사는 조사대상 기업의 정상적인 거래까지 전방위로 검증하는 ‘저인망식’ 조사가 아닌, 사주 일가의 편법 상속·증여 혐의에 집중하여 철저히 검증하는 ‘현미경식’ 조사방식" 이라며 "조사 결과 탈세 혐의가 확인될 경우 세금 추징은 물론 부정한 수법의 탈루 행태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의 성과와 관련해서는 "지난해에의 경우, 대기업・대재산가에 대해 총 1307건 조사하여 2조 8091억 원을 추징했고, 이 중 40명을 범칙조사로 전환하여 23명을 고발조치했다" 고 발표했다.


이어서 그는 "국세청은 대기업・대재산가의 경영권 편법 승계, 사익편취 등에 대해서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히 과세함으로써 ‘세금 없는 부의 대물림’을 적극 차단하겠다" 면서 "이를 위해 FIU정보, 차명주식 통합분석시스템 등 과세인프라를 바탕으로 대기업 및 사주 일가의 자본·재산·소득 현황과 변동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변칙 자본거래, 부의 무상이전 혐의 등을 정밀 검증할 것"이라며 대응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