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오염 피난처는 옛말…환경 규제 강한 나라일수록 전기차 수출 잘된다

소비재일수록 ‘녹색 피난처’ 효과 뚜렷
국제 최상위 학술지에 게재…정책 활용 기대

[산업경제뉴스 손영남 기자] 환경 규제가 강한 국가일수록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 제품의 수출 경쟁력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오랫동안 통용되던 ‘오염 피난처(pollution haven)’ 가설을 뒤집는 새로운 글로벌 공급망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KAIST 기술경영학부 이나래 교수 연구팀은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헤더 베리·재스미나 쇼빈 교수, 텍사스대학교 랜스 청 교수와의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기업들이 이제는 환경 규제가 강한 국가를 ‘녹색 피난처(green haven)’로 선택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2년부터 2019년까지 92개 수입국과 70개 수출국, 약 5천여 개 제품에 대한 UN Comtrade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 전체 교역량은 줄어드는 반면, 전기차·에너지 효율 가전 등 녹색 제품에 한해서는 오히려 교역이 증가하는 현상이 확인됐다.


이는 단순히 생산비 절감을 위해 규제가 느슨한 국가로 이전하는 것이 아니라, 친환경 제품의 생산과 거래 과정에서 투명성과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규제가 강한 국가를 선호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스마트폰, 의류, 음식, 화장품, 가전제품, 자동차 등 소비자와 직접 맞닿는 최종 소비재 분야에서 두드러졌다. 환경운동이나 NGO 활동이 활발한 국가로 수출되는 제품일수록 이 경향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이나래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글로벌 공급망이 더 이상 비용 효율성만으로 설명되지 않으며, 기업의 환경적 정당성이 전략적 선택을 좌우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강력한 환경정책은 기업 활동을 제약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녹색 제품 경쟁력을 높이는 기반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경영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지인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JIBS) 10월호에 게재되었으며, KAIST의 오픈 액세스 지원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논문을 열람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가 기업의 글로벌 전략뿐 아니라 각국의 환경 정책 수립에도 실질적인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