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2.6℃
  • 구름많음강릉 12.6℃
  • 서울 14.6℃
  • 흐림대전 23.2℃
  • 구름많음대구 24.6℃
  • 구름많음울산 21.8℃
  • 흐림광주 21.8℃
  • 흐림부산 18.4℃
  • 흐림고창 21.2℃
  • 흐림제주 21.2℃
  • 흐림강화 10.7℃
  • 흐림보은 24.1℃
  • 흐림금산 24.2℃
  • 흐림강진군 20.8℃
  • 구름많음경주시 25.6℃
  • 구름많음거제 18.0℃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맞수열전]⑤라면맞수 ‘농심vs오뚜기’ 1Q 장사 승자는?

매출액 증가율, ‘오뚜기 4.0% vs 농심 –7.7%’..전사 매출액 우위도 탈환
영업익 감소율, ‘오뚜기 12.3% vs 농심 55.5%’..오뚜기가 외형·손익 완승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국내 라면시장 점유율 1, 2위를 달리는 농심과 오뚜기의 올 1분기 영업 성적표를 분석한 결과, 오뚜기가 매출과 손익 증가율 양 부문에서 완승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지난해 1분기 농심에게 빼앗겼던 매출액 우위도 되찾아 옴으로써 리턴 매치에서 깔끔하게 설욕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그렇다면 양사의 올 1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어떠했기에 이 같은 평가가 나오는 걸까? 

전년 동기대비 매출증가율, ‘오뚜기 4.0% vs 농심 -7.7%’...오뚜기가 11.7%P 앞서


각사 1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등 종속법인의 실적을 포함한 연결재무제표 기준 농심의 1분기 매출은 6344.1억 원으로 전년 동기 6876.7억 대비 532.6억이 줄어 약 7.7% 감소했다. 

백산수 등 음료부문만 유일하게 117.1억 원 가량 증가했지만 라면류가 422.6억, 스낵 35.6억, 켈로그 츄파춥스 등 기타 상품군 124.2억이 줄어 전사 532.6억의 외형 축소를 막지 못했다.  

반면 오뚜기는 1분기에 6712.5억 매출을 시현, 전년 동기 6455.3억 대비 257.2억이 늘어 약 4.0% 성장함으로써 외형 신장률에서 농심에게 11.7%포인트 가량 우세를 보였다.

오뚜기 역시 라면류 매출은 92.1억 원 가량 줄었지만, 유지류에서 271.8억과 양념소스류가 93.5억이 늘어남으로써 전사 외형을 전년 동기 대비 257.2억 증가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제품 아이템간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의 힘(?)이 어떤 효과를 내는지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대목이다.

이에 더해 오뚜기는 지난해 1분기 농심에게 약 421억 차이로 역전을 허용했던 외형을 368억 원 가량 앞서며 외형 우위 탈환에도 성공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오뚜기가 오랜 기간에 걸쳐 잘 구축해온 균형 잡힌 사업포트폴리오가 적절한 순간에 빛을 발했다는 평가다.  

즉, 올 1분기 기준 전체 매출에서 라면류((면포함)가 차지하는 비중이 농심은 약 79%에 달하는 반면에 오뚜기는 28.2%로 훨씬 적고, 나머지 소스류 등 5개 사업아이템이 각각 13~15% 비중을 유지함으로써 이중 1개 아이템의 등락에 크게 흔들리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이라는 것. 

즉, 지난해 상반기 코로나19 여파로 집콕 먹거리가 라면류에 편중됐던 수요가 시간이 흐르면서 컵밥 등 간편식과 맛집 등 외식업계 배달 메뉴로의 분산이 가속화되면서 사업 포트폴리오상 라면에 편중된 농심의 데미지가 오뚜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컸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영업이익 감소율, ‘오뚜기 12.3% vs 농심 55.5%’...오뚜기 ‘신승(辛勝)?’

외형에 이어 손익에서도 오뚜기가 농심보다 더 나은 성적표를 만들어냈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양사의 1분기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오뚜기가 지난해 1분기 572억 원 대비 12.3% 가량 감소한 502억을 시현한 반면에, 농심은 전년 동기 636억 대비 무려 55.5%나 급감한 283억 원 시현에 그쳐 오뚜기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부진한 성적표를 내밀었다.  

이처럼 양사의 수익성이 훼손된 것은 판매관리비 상승 등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소맥(밀가루)과 팜유 같은 주요 원자재의 국제시세 급등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농심 1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라면의 주요 원재료인 소맥(밀가루)과 팜유의 1분기 말 국제 시세가 톤당 980달러와 238달러로, 지난해 말 627달러와 202달러 대비 각각 17.8%와 56.3%나 급등했고, 

기간을 넓혀 2019년 대비로는 각각 31.5%, 71.9%나 급등한 것으로 나타나 원가율을 끌어올렸지만 소매가격은 변동 없이 유지한 점이 손익악화의 주된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

이로써 양사의 올 1분기 실적은 외형 증가율과 영업이익 감소율, 전사 매출 총액까지 모두 오뚜기가 농심을 앞섬으로써 ‘완승’을 거둔 것으로 봐도 무방할 것 같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아웃백, ‘사회적 책임’ 확대향 ‘밥퍼’ 나눔 실천 '훈훈'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국내 1위 캐주얼 다이닝 레스토랑을 지향하는 다이닝브랜즈그룹의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이하 아웃백)가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에게 한 끼의 소중한 가치를 전하는 활동을 전개해 훈훈함을 더하고 있다. 지난 3일 다일복지재단 밥퍼나눔운동본부에 식재료 총 119개(2,500만원 상당) 박스를 전달하며 따뜻한 한끼의 가치를 나누는 기부 활동을 전개한 것. 다양한 나눔과 기부 등으로 ‘사회적 책임’을 적극 실천하고 있는 아웃백의 이번 기부는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러브백(Love Back)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러브백’은 브랜드의 핵심 가치인 ‘좋은 음식은 좋은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정성과 따뜻함을 사회 전반으로 확장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아웃백은 해당 캠페인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곳에 실질적인 지원을 이어오고 있다. 기부 전달식은 서울 동대문구 소재 다일복지재단 밥퍼나눔운동본부에서 진행됐다. 현장에는 정필중 아웃백 사업본부장과 장임선 아웃백 운영담당 이사를 비롯해 다이닝브랜즈그룹 동반성장팀 임직원들이 직접 참여해 따뜻한 마음을 전했다. 전달된 식재료는 밥퍼나눔운동본부의 무료 급식 활용에 사용돼, 취약계층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