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23 (화)

  • 맑음동두천 -13.0℃
  • 맑음강릉 -9.5℃
  • 맑음서울 -11.9℃
  • 맑음대전 -8.6℃
  • 맑음대구 -7.1℃
  • 맑음울산 -6.6℃
  • 광주 -4.8℃
  • 맑음부산 -5.4℃
  • 흐림고창 -5.1℃
  • 제주 0.7℃
  • 구름많음강화 -10.9℃
  • 흐림보은 -8.9℃
  • 구름많음금산 -8.5℃
  • 맑음강진군 -3.4℃
  • 맑음경주시 -7.4℃
  • 맑음거제 -4.3℃
기상청 제공

기획PLUS

[반도체와 한국경제] ① IT강국 "반도체 착시 걷히며 침체 민낮 드러내..."

핸드폰, 컴퓨터 등 5년째 감소...미래 유망 품목도 없어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2000년 이후 IT강국으로 자타가 공인했던 한국의 IT산업이 부진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특히 그동안 반도체 호황에 가려져 보이지 않았던 핸드폰, 컴퓨터, 디스플레이 등 IT품목의 부진이 최근 반도체 실적 마저 급감하면서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반도체의 착시현상이 걷히면서 한국 IT산업의 민낯이 드러나고 있다"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IT산업이 우리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6년 32%, 2005년 37%, 2018년 36%으로 3분의 1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수출액도 1996년 412억 달러에서 2018년 2204억 달러로 매년 7.9%의 성장률을 보였다.


특히 최근 2년동안에는 연평균 16.5%의 성장세를 보이며 우리 수출의 버팀목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세의 이면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오직 반도체 한 품목만의 성장이었던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실제로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지난 20년 IT산업 수출액을 품목별로 조사해본 결과 반도체를 제외하면 핸드폰, 컴퓨터, 디스플레이 등 한 때 한국 IT산업을 이끌던 품목들이 2010년 이전 수준으로 돌아 간 것으로 조사됐다.


반도체를 제외하면 2018년 IT산업 수출액은 922억 달러로 2010년 1032억원 보다 작은 규모다. 반도체를 제외한 IT산업의 수출액은 2013년 1155억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지난 5년간 계속 내리막을 걷는 모습이다.




■ 지난해 연말부터 반도체도 하락세로 전환...올들어서는 20% 이상 급감


지난해 12월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대비 8.4% 감소한 모습을 보이며 하락세로 전환했다. 그리고 올해들어서는 감소폭이 20%가 넘으며 급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감소율도 1월 -23.3%, 2월 -24.8%, 3월 10일까지 -29.7%로 매달 감소폭이 커져가고 있는 추세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4차 산업혁명 등으로 반도체 수요는 견조하게 유지될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올해 들어서는 지난 1월 반도체 수요도 2.6% 감소세를 보였다.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는 지난 2월 전망보고서를 통해 올해 전세계 반도체시장 수요가 3.0% 감소하며, 특히 우리 반도체 수출의 73.4%를 차지하는 메모리 반도체 수요는 14.7%나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 휴대폰, 컴퓨터, 디스플레이 등 줄줄이 감소...IT강국 위상 실종


IT산업은 크게 전자부품, 컴퓨터, 통신방송기기, 영상음향기기, 정보통신응용기반기기 5개 부문으로 구성되는 데 이 중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부품 부문을 제외하면, 나머지 4개 부문의 IT산업 수출 비중 합계가 1996년 54%에서 2018년 25%로 반토막이 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방송기기는 2008년 28%로 정점을 찍은 후 2018년 8%로 3분의 1 이하로 하락했다. 컴퓨터는 2000년 23%를 차지했지만 2018년엔 5%로 5분의 1 가까이 축소됐다.


영상음향기기는 1996년 17%에서 2018년 1%로 사실상 있으나마나한 수준으로 전락했다. 정보통신응용기반기기만 간신히 9~12%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반도체 외 부문의 수출비중이 작아진 이유는 상대적으로 반도체 수출규모가 커졌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동안 글로벌 경쟁력 톱으로 생각했던 상당수 제품의 실제 수출액도 이미 수년 전부터 계속 감소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때 우리 IT산업을 이끌던 휴대폰 수출액은 2008년 334억 달러로 정점을 찍은후 감소했다가 휴대폰 부품 수출이 늘면서 2015년 300억 달러로 반등 했지만, 그후 다시 급격히 감소해 2018년 146억 달러로 3년만에 반토막이 나버렸다.


이런 급감의 한 이유로 업계에서는 스마트폰의 생산이 해외로 급격히 빠져나가고 있는 점을 꼽기도 한다.


IITP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해외생산 비중은 2010년 15.9%였으나 1년만인 2011년 56.5%로 급속히 늘어 난 후, 2012년 79.9%, 2013년 86.3%, 2017년에는 91.3%로 늘어났다. 


이밖에 LCD, OLED 등 디스플레이 수출도 2013년 393억 달러로 총수출의 7.0%를 차지하는 대표제품이었으나 작년 278억 달러로 감소하면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컴퓨터와 컴퓨터 주변기기는 2000년 81억 달러로 정점을 찍은 후 2018년 15억 달러로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고 TV 등 영상음향기기도 2006년 67억 달러에서 2018년 16억 달러로 4분의 1로 줄었다.


■ "반도체 이후 IT산업 이끌 유망 품목 없는 게 더 큰 문제"


IT산업이 반도체 부문 마저 하락세를 보이면서 전체적인 침체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반도체를 대체할 품목이 없는게 더 큰 문제라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이번 조사보고서를 발표한 한경연은 "반도체 등 전자부품을 제외하면 차기 IT산업을 이끌어갈 뚜렷한 유망수출품목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이번 분석결과에 대해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20년 넘게 수출 효자노릇을 톡톡히 해낸 IT산업이 수출 붕괴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 “특히 올해 들어 반도체 수출이 20% 넘게 감소하고 있어 반도체 착시효과가 걷히면 IT산업 수출위기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서 “최근 정부가 수출 활력 대책을 내놓았지만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 기존의 대책과 비슷해 추세를 반전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평가하면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과감한 규제개혁, 노동시장 경직성 개선, 기업활동을 촉진하는 조세환경 정비 등 제조업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일관되게 추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