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3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한경협(舊전경련) 10월 기업경기전망 "19개월 연속 부진"

지난해 '기준금리 빅스텝' 실시 때 수준으로 하락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대기업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경기가 급격히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기준금리빅스텝이 실행됐을 때 만큼 기업들이 경기를 어렵게 보고있다는 설명이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 舊 전경련)가 600대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 Business Survey Index)에 따르면, 오는 10월 기업들의 현장체감경기 전망은 90.6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현장에서 체감하는 경기를 기업에게 직접 설문형식으로 조사하는 BSI는, 긍정적으로 답변한 기업의 수와 부정적으로 답변한 기업의 수가 같을 경우 100을 나타내도록 설계돼있다. 조사에서 긍정적인 답변이 많으면, 많은 만큼 100을 초과하고 부정적인 답변이 많으면 그만큼 100 아래의 수치가 나온다.


오는 10월 전망 수치는 지난해 4월에 기록했던 99.1 이후 19개월 연속 기준수치인 100을 하회하는 것으로, 지난해 대통령 선거 이후 계속 부진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19개월 연속 부진은 코로나19 재확산기인 2021년 2월 이후 최장기 기록이다.


이러한 전망 수치 외 실제로 체감한 실적 수치도 오랜기간 기준선을 밑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BSI 9월 실적 수치는 93.0을 기록해서 작년 2월 91.5부터 20개월 연속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 기업들의 실적 악화가 장기화되고 있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2020년 이후 실적 BSI 그래프를 살펴보면, 2020년 2월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58.8까지 떨어졌다가 코로나19가 안정되면서 2021년 3월에 112.9까지 상승했다. 


하지만 대통령선거가 있었던 2022년 3월 이후 다시 100 이하로 떨어진 후 지난해 7월과 10월 기준금리 빅스텝이 실시되자 83.1로 더 떨어졌다. 그후 올해 들어와 금리가 동결되면서 94.9까지 상승했지만 최근 3개월 다시 하락하면서 90.6으로 기준금리 빅스텝이 실시됐던 지난해 10월 수준의 수치를 보이고 있다.





10월 전망 BSI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과 비제조업 수치가 3개월 연속으로 동시에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10월 제조업의 전망 수치는 88.1, 비제조업은 93.3으로 조사됐다. 제조업은 2022년 4월 94.8부터 19개월 연속, 비제조업은 2023년 8월 95.2부터 3개월 연속 기준선 100을 하회하고 있다. 


제조업 세부 업종의 10월 전망은, 비금속 소재 및 제품만 100.0으로 기준선에 걸쳤고, 나머지 9개 업종은 모두 업황 부진이 전망된다.


제조업 2023년 10월 BSI 전망





비제조업 세부 업종(총 7개 업종) 중에서는 전기·가스·수도(100.0)만 기준선에 걸쳤고, 나머지 조사 대상 6개 업종 모두 업황 부진이 전망된다.


여가·숙박 및 외식은 76.9, 도·소매 92.2, 과학·기술 및 사업지원서비스 92.3, 정보통신 94.1, 건설 95.3, 운수 및 창고 96.2로 조사됐다.


한경협은 “대표적인 내수업종인 여가·숙박 및 외식(76.9)과 도·소매(92.2)의 동반 부진은 2023년 2월 이후 8개월 만의 일”이라면서, “최근 소비지표가 둔화되며, 10월 연휴에도 불구하고 내수업종의 기업심리는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소비지표를 나타내는 소매판매 통계를 보면, 2023.7월 소매판매는 -3.2%로, 2020.7월 -4.6% 이후 3년 만에 최대 감소 수치를 나타냈다.


한편, 10월 경제 부문별 BSI는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 전망이 나타났다. 전 부문 부진은 2022년 10월부터 13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다. 채산성이 90.3, 수출 94.1, 자금사정 94.1, 투자 95.4, 내수 96.5, 고용 97.6으로 모두 기준선 100을 밑돌았다.


특히, 내수, 수출, 투자 등 주요 경제지표는 2022년 7월부터 16개월 연속 동시에 부진했다. 내수·수출·투자의 16개월 연속 동반 부진은 2021년 2월 이후 처음이다.


이번 조사를 실시한 한경협 추광호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우리경제는 산업활력 저하, 소비심리 위축으로 생산·소비·투자의 트리플 약세가 나타나는 등 하반기 경기반등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라며,


“경기회복과 기업활력 제고를 위해 규제혁신과 노동개혁을 지속하는 한편, 물가 등 가격변수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으로 소비심리를 진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