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매출 상위 100대 기업, 코로나 전후 영업이익 43% 증가

이익 증가에도 불확실성에 대비 차입 등 현금보유 늘려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코로나19로 중소기업과 영세자영업자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매출 상위 100대기업들은 코로나 이전보다 영업이익이 43.4% 증가하며 오히려 더 큰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매출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8~2019년 영업실적과 코로나가 한창 진행 중이었던 2020년~2021년 영업실적을 비교했다.


100대 기업의 매출액은 코로나 이전 1,576조원에서 1,667조원으로 5.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22.8조원에서 130.0조원으로 5.9% 증가했다.




100대기업에는 반도체 회사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포함됐는데, 이들은 100대기업 전체에서 매출은 26.7%를 차지하고 영업이익은 51.3%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전경련은 두 회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크기때문에 두 회사를 제외한 실적을 조사해서 100대기업 대부분 회사의 실적을 다시 정리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한 98개 기업의 코로나 전후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은 1,185조원에서 1,228조원으로 3.7%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42.4조원에서 60.8조원으로 43.4%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회사를 포함했을때 보다 매출 증가율은 조금 작았지만, 영업이익 증가율은 5.9%에서 43.4%로 크게 확대됐다. 


코로나가 진행중인 상황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한 100대기업 회사들은 그동안 알려진 것과 달리 반도체 회사보다 훨씬 더 큰 이익 성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투자액은 반도체 회사를 포함했을 때 137조원에서 149조원으로 8.6% 증가했지만, 반도체 회사를 제외하면 72조원에서 64조원으로 오히려 11.4% 감소했다.


업종별 투자실적을 보면, 업종별 희비가 크게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가 포함된 전기·전자는 18.0%으로 투자증가가 가장 높았고, 이외에도 정보·통신(14.4%), 의약품(8.3%) 등 비대면 수혜를 누린 업종은 투자가 증가했다. 반면, 유통(-85.1%), 운수·창고(-23.7%), 음식료(-20.1%) 등 대면 관련 업종의 투자는 크게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도 100대 기업은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이를 위해 차입금을 늘리는 등 현금 확보로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대기업은 코로나 이전보다 차입을 9.7% 늘렸고, 증가한 이익도 유보하면서 현금성자산이 16.6%나 증가했다.


전경련은 "기업들이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공급망 훼손 등 확대된 불확실성 대비를 위해 호실적에도 빚을 늘려가며 현금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0과 2021년 100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은 총 244.6조원으로, 투자(189.1조원) 및 배당·이자 등(59.5조원)으로 지출한 현금 248.6조원과 비슷한 수준(-4.0조원)이었다. 그럼에도 2021년 말 기준 100대 기업 총차입금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말 대비 23.7조원(9.7%) 증가했다. 



전경련은 이에 대해 기업들이 코로나19 이후 투자·배당 지출로 인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수익만으로 현금을 충당하지 못하자, 차입을 늘려 추가적인 현금을 확보한 것으로 해석했다. 실제로 2021년 말 기준 100대 기업의 현금성자산은 총 104.1조원으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말 대비 14.8조원(16.6%) 증가했다.

전경련은 기업들의 보유 현금보다 빚이 더 많이 늘어나면서 재무 부담 가중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100대 기업의 총차입금에서 현금성자산을 제외한 순차입금은 지난 5년 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1년 말에는 164.8조원으로 최근 5년 내 최대치를 기록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올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글로벌 통화긴축 등 기업들이 당면한 대외적 불확실성이 지난해보다 더욱 확대된 상황”이라며, 

“기업들이 불확실성을 잘 헤쳐나가 적극적인 투자·고용에 나설 수 있도록, 선제적 세제지원·규제개혁으로 기업들이 경영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