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시중은행 대출금리 가장 비싼 곳은?

씨티은행, 이율 가장 높고 금리인상 폭 가장 커
금리경쟁력 우리B ‘Top'‥씨티B 대비 0.48%p↓


[산업경제뉴스 김소산 기자] 지난해 시중은행 가운데 대출금리가 가장 비쌌던 곳은 외국계인 한국씨티은행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대출금리 경쟁력이 가장 우수했던 곳은 우리은행이었다.


산업경제뉴스는 KB국민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신한은행, SC제일은행, 한국씨티은행 등 국내에서 영업하고 있는 시중은행의 사업보고서에 나타난 대출금리를 비교분석했다. 분석대상 대출금리는 원화부문이며, 연평균 수치이고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을 모두 포함했다.


조사결과 씨티은행이 3.7%로 가장 비싼 금리를 적용했고, 이어서 하나은행 3.39%, 신한은행 3.26%, 국민은행과 제일은행이 3.24% 순으로 높았으며 우리은행이 3.22% 로 가장 낮았다.


은행 간 대출금리에서 적용금리가 가장 높았던 씨티은행과 가장 낮았던 우리은행과의 금리차이는 무려 0.48%포인트로 벌어져 있었다.


특히 씨티은행과 두 번째로 금리가 높았던 하나은행과의 금리차이가 0.31%포인트를 나타낸 반면, 이후부터 4개 은행 간 차이는 0.17%포인트에 그쳤다.


금리가 가장 높은 씨티은행의 지난해 대출금이 19조원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가장 금리가 낮은 우리은행과의 금리 차이로 얻은 수익은 약 913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 수치는 씨티은행이 지난 한 해 동안 거둬들인 당기순익 3078억원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다.


■ 씨티은행, 금리하향 추세에도 금리 0.2%p 인상

   

씨티은행의 고금리 정책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2014년 10월 15일 2.0%에서 2015년 3월 12일 1.75%로 인상했고 그해 6월 11일 다시 1.5% 그리고 2016년 6월 9일 1.25%로 계속 인하했다.


그 이후 1년 반이 지난 2017년 11월 30일에 1.5%로 인상한 후 1년 후인 2018년 11월 30일에 1.75%로 인상했다.


한국은행의 최근 3년간 기준금리 변동추이를 감안할 때, 씨티은행이 3년 전 보다 평균 금리를 인상해야 할 요인은 없었다는 것이 금융권의 중론이다. 실제로, 같은 기간 하나은행만 0.09%포인트 금리를 인상했을 뿐 그 외 다른 은행들은 금리를 0.05%포인트∼0.53%포인트 인하했다.


또한, 최저금리였던 2016년을 기점으로 지난해까지 2년 동안 씨티은행을 제외한 타행들의 예대금리차이는 미세한 변동에 그쳤던 것으로 조사됐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이 0.17%포인트, 우리은행 -0.06%포인트, 하나은행 0.15%포인트, 신한은행 0.2%포인트, SC제일은행 -0.13%포인트 정도의 오르내림이 확인됐다. 반면, 같은 기간 씨티은행의 예대금리차이는 0.27%포인트나 상승해서 타행들과 차이를 보였다.


이에 대해 시중은행에서 경영기획을 담당하는 한 임원은 “이는 씨티은행을 포함, 외국계은행들이 국내영업 전략에서 국민정서를 외면하고 수익다변화의 한계를 드러낸 것”이라며 “씨티은행의 경우, 은행수익의 가장 큰 원천인 대출자산이 2014년 27.7조원에서 매년 지속적으로 축소, 지난해 24.5조원까지 5년 새 11.4%가 줄어든 것이 그 반증”이라고 일침을 놓았다.


이어서 그는 “지난해 우리은행을 이끌었던 손태승 행장의 경우, 대출금리를 인상하지 않고도 자산은 늘리면서 건전성 확대와 BIS비율을 높여서 주당순이익을 53%나 성장시킨 것이 좋은 사례”라며 “씨티은행이 조직운영부터 영업 전략까지 국내정서와 호흡하는 전략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SBA, 서울에너지공사와 맞손...에너지·환경 분야 실증 지원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서울시의 미래 혁신성장 동력을 만드는 중소기업 지원기관 서울경제진흥원(대표이사 김현우, 이하 ‘SBA’)과 서울에너지공사(사장 황보연, 이하 ‘공사’)가 에너지·환경 분야에서 미래 혁신을 이끌 민간 기술 지원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지난 10일 서울창업허브 엠플러스에서 'ESG 개방형 테스트베드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협력에 나선 것인데, 이번 협약은 공사가 보유한 에너지 인프라를 민간에 개방형 테스트베드로 제공하고, SBA가 기술 공모, 사업화 연계 등 기업지원에 협력하는 공공-민간 협력형 실증 모델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SBA는 기술 공모 및 사업화 연계를 주도하고, 공사는 전기차·수소차 충전소, 열수송관,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에너지 인프라를 개방해 테스트베드로 제공할 계획이다. 그동안 기술은 갖췄으나 실증 공간이 부족해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많은 혁신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성장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증 대상은 탄소 저감, 에너지 효율 향상, 설비 국산화 등 ESG 가치 실현과 직결되는 기술들이며, 우수 기술에 대해서는 판로 개척 및 사업화 등의 연계지원도 이뤄진다.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