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2.6℃
  • 구름많음강릉 12.6℃
  • 서울 14.6℃
  • 흐림대전 23.2℃
  • 구름많음대구 24.6℃
  • 구름많음울산 21.8℃
  • 흐림광주 21.8℃
  • 흐림부산 18.4℃
  • 흐림고창 21.2℃
  • 흐림제주 21.2℃
  • 흐림강화 10.7℃
  • 흐림보은 24.1℃
  • 흐림금산 24.2℃
  • 흐림강진군 20.8℃
  • 구름많음경주시 25.6℃
  • 구름많음거제 18.0℃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제과4社 외형 2개사씩 희비 교차한 원인과 과제는?

2020년 3Q 누적 매출, 2개사는 증가, 2개사는 감소...명암 엇갈려
오리온 12.6%·해태 2.8% 늘고, 롯데 –1.5%·크라운-0.3% ‘뒷걸음’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국내 제과시장을 이끌고 있는 롯데제과, 오리온, 해태, 크라운제과의 올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2개사는 늘고 2개사는 줄어 회사별로 희비가 교차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리온과 해태제과는 외형이 각각 12.6%와 2.8% 증가한 반면에 롯데제과와 크라운제과의 경우 각각 1.5%와 0.3%가량 역신장한 것으로 드러난 것. 

이처럼 두 회사는 방긋 웃고, 나머지 2개사는 우울한 성적표를 시장과 투자자에게 내밀 수밖에 없었던 원인은 과연 무엇일까?    

4사 합산 매출, 전년 동기대비 4.6%↑..오리온·해태가 성장세 견인

먼저 각사 3분기보고서에 의거해 해외법인 등 종속기업 실적이 반영된 연결재무제표 기준(단, 크라운제과는 종속법인이 없어 별도재무제표기준임) 4사의 합산 매출부터 살펴보면, 총 3조9052억 원을 시현, 전년 동기 3조7322억보다 1730억이 늘어 4.6% 가량 증가했다.


오리온이 1조6523억 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동기 1조4669억 대비 1854억이나 급증해 약 12.6% 성장했고, 이어 해태제과가 4122억 매출을 시현 전년 동기 4008억 대비 114억이 늘어 2.8% 가량 신장했다. 

반면 롯데제과는 1조5547억 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동기 1조5777억 대비 약 230억 원이 줄며 1.5% 가량 역 성장했고, 크라운제과 역시 2861억 매출로 지난해 3분기 2869억 원 대비 약 8억이 줄어 약 0.3% 감소함으로써 오리온, 해태제과의 성장세와 대조되는 행보를 펼쳤다. 

특히 오리온의 매출 순증액 1854억 원은 4사 합산 매출 증가액 1730억 보다 124억이 더 많아 4사 합산 매출 성장을 주도하는 선전을 펼쳐 눈길을 모은다.

IBK투자증권 김태현 연구원은 “3분기 실적은 외형과 영업이익 공히 시장의 컨센서스에 대체로 부합했다”며 “꼬북칩초코츄러스, 초코파이바나나 등 신제품 판매 호조와 오땅, 구운쌀칩, 예감, 닥터유바 등 기존제품의 판매증가로 국내외 법인 모두 성장한데 기인한다”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 보고서에 의거해 3분기만 국한해 국내외 법인의 실적증감을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살펴보면, 매출의 경우 국내법인 6.4%, 중국법인 14.4%, 베트남법인 18.2%, 러시아법인 16.1%로 전 법인이 모두 성장한 호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이익 역시 국내법인 2.7%, 중국 1.6%, 베트남 23.2%, 러시아 46.2%씩 신장하며 전사 실적 호조를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여기서 오리온 전체 매출중 약 50%를 차지하는 중국법인의 영업이익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것은 지난 2분기에 140.2%나 폭증한 것이 스프레드된 때문으로 보인다.  

결국 오리온은 회사 실적의 약 35% 비중을 지닌 국내법인 보다는 65% 가량을 차지하는 중국, 베트남, 러시아 등 해외법인 선전이 이 같은 호 성적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빙과사업 ‘직격탄’ 롯데제과 및 해태·크라운제과의 지속 성장向 과제는?  

반면 롯데제과의 경우에는 인디아와 기타해외법인을 제외하고는 국내법인 및 유럽, 카자흐스탄, 파키스탄법인의 부진이 외형 감소의 단초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회사 3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전사 매출의 약 74%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국내법인이 81.4억(-0.7%), 유럽법인 123.8억(-22.7%), 카자흐스탄 –68.3억(-5.6%), 파키스탄 30.3억(-4.7%) 씩 감소함으로써 회사 전체 매출을 230억 원(–1.5%) 가량 역 신장시키는 결과로 이어졌다. 

특히 빙과사업 매출이 지난해 3분기 3633.6억에서 올 3분기 3355.7억 원으로 약 277.9억 감소한 점이 결정적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밖에 해태제과는 지난 10월 아이스크림사업부를 빙그레에 매각함에 따라 실적 공시자료의 부실로 정확한 분석이 불가하고, 크라운제과는 제품(상품·용역매출 포함) 매출은 약 26억 늘었지만 매출 에누리 금액이 전년대비 34억 증가함에 따라 전사 매출이 약 8억 정도 줄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3분기까지의 실적에서 보듯 롯데제과는 앞으로 부진한 실적의 주범역할을 담당한 빙과사업의 재건을, 해태제과의 경우에는 빙그레에 매각한 연 매출 1200~1300억 대의 아이스크림사업 매출 공백을 메워 줄 새로운 승부수를 찾아야할 때”라고 조언했다. 

그는 또 “크라운제과 역시 제자리걸음 수준인 외형을 한 단계 레벨업시킬 수 있는 새로운 성장 동력의 개발·장착이 시급할 것 같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아울러 롯데제과·크라운·해태제과가 과연 어디에서 지속 성장을 이끌 묘수를 찾아낼 지에도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아웃백, ‘사회적 책임’ 확대향 ‘밥퍼’ 나눔 실천 '훈훈'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국내 1위 캐주얼 다이닝 레스토랑을 지향하는 다이닝브랜즈그룹의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이하 아웃백)가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에게 한 끼의 소중한 가치를 전하는 활동을 전개해 훈훈함을 더하고 있다. 지난 3일 다일복지재단 밥퍼나눔운동본부에 식재료 총 119개(2,500만원 상당) 박스를 전달하며 따뜻한 한끼의 가치를 나누는 기부 활동을 전개한 것. 다양한 나눔과 기부 등으로 ‘사회적 책임’을 적극 실천하고 있는 아웃백의 이번 기부는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러브백(Love Back)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러브백’은 브랜드의 핵심 가치인 ‘좋은 음식은 좋은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정성과 따뜻함을 사회 전반으로 확장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아웃백은 해당 캠페인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곳에 실질적인 지원을 이어오고 있다. 기부 전달식은 서울 동대문구 소재 다일복지재단 밥퍼나눔운동본부에서 진행됐다. 현장에는 정필중 아웃백 사업본부장과 장임선 아웃백 운영담당 이사를 비롯해 다이닝브랜즈그룹 동반성장팀 임직원들이 직접 참여해 따뜻한 마음을 전했다. 전달된 식재료는 밥퍼나눔운동본부의 무료 급식 활용에 사용돼, 취약계층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