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산업ㆍ경제

조폐공사, 매출·영업익 4년연속 최대 갱신

정품인증사업 매출 전년 比 14배 성장
수출, 2015년 대비 2배 성장 524억 실현


한국조폐공사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 수출부문에서 모두 사상 최대를 경신하는 실적을 냈다.


조폐공사가 잠정 집계한 지난해 매출은 전년보다 134억원 이상 늘어난 4777억원, 영업이익은 60억원 이상에 달했다고 3일 밝혔다.


특히 매출과 영업이익은 4년 연속 사상 최대를 넘어섰다. 지난 4년간 강도 높은 경영혁신과 사업체질 개선에 힘쓴 덕분으로 풀이된다.


2014년 4276억원이었던 매출은 2015년 4595억원, 2016년 4643억원, 2017년 4777억원(잠정)으로 4년 연속 최대 매출액을 갱신했다.


영업이익도 2014년 42억원에서 2015년 47억원, 2016년 59억원, 2017년 60억원 이상으로 매년 증가함에 따라 3년 연속 무차입 경영도 실현했다.


‘동전 없는 사회’ 환경으로 주화 제조량의 감소추세에도 불구 조폐공사가 이처럼 호실적을 지속하고 있는 것은 신사업 육성전략이 주효한 데다 해외시장 개척 노력 또한 성과를 거두고 있어서다.


2007년 2075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62%를 차지했던 화폐사업 매출액은 2016년 1697억원으로 줄어들면서 비중이 36.6%로 하락했다.


지난해엔 1558억원으로 32.6%로 낮아졌다. 반면 신사업은 지난해 1144억원의 매출을 달성, 비중이 23.9% 수준으로 올라섰다.


이 신사업은 △정품인증 △기념메달△ID △해외 시장 개척 △우즈베키스탄 현지공장(GKD)을 통한 세계 면펄프 수출 시장 확보 등이다.


정품인증사업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보다 14배 이상 성장한 110억원을 넘어서면서 조폐공사의 새 성장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이 사업은 조폐공사가 축적한 세계 최고 수준의 위변조방지 기술을 활용해 민간 기업들이 생산하는 제품이 진품임을 입증해주는 사업이다.


조폐공사는 가짜 ‘정관장’ 홍삼제품, 가짜 화장품 등을 판별할 수 있는 포장 패키지와 레이블(라벨), 특수용지, 특수잉크 등을 개발, 관련 기업에 공급함으로써 ‘짝퉁’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수출기업들을 돕고 동반성장하고 있다.


2014년만 하더라도 소규모에 그쳤던 메달 사업은 지난해 510억원의 매출을 올릴 정도로 사업이 커졌다. 2022년에는 10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는 게 목표다.


글로벌 시장 공략 성공도 지난해 조폐공사가 거둔 주요 경영성과로 꼽힌다. 2015년 265억원, 2016년 332억원에 그쳤던 수출은 지난해 524억원(잠정)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조폐공사는 지난 연말 태국 주화 수출 첫 선적식을 가졌다.  규모는 단일계약 기준 사상 최대인 3억7000만개 규모다. 


이와 함께 중동과 중앙아시아 국가에는 전자주민증용 IC칩셋과 전자주민증을 수출하는 데 성공했다. 칩셋은 조폐공사가 자체 개발한 COS(Chip Operating System, 스마트카드 칩 운영시스템)인 ‘JK21’을 탑재하고 있으며 국가신분증 카드 제조에 사용된다.


이밖에 우즈벡에 위치한 자회사 GKD도 세계 면펄프(은행권 재료) 시장에서 지난해 1만2000톤의 면펄프를 판매 2320만달러라는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김화동 사장은 “지난 4년간의 도약은 강도 높은 경영혁신과 사업체질 개선 노력에 힘입은 바 크다”며 “조폐보안 분야에서 ‘글로벌 빅 플레이어’가 되기 위해 더 힘쓰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