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롯데제과, '대표 빙과 깜짝 변신 2' 선봬...노림수는?

‘핑크 죠스바’, ‘완전 시원한 수박바’ 등 5종 변신 제품 선봬
지난해 ‘거꾸로 수박바’ 돌풍을 이어갈 신제품 지속 출시 예정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롯데제과(대표 민명기)가 최근 선보인 깜짝 변신 빙과 5종이 눈길을 끌고 있다. 아울러 자사 장수 스테디셀러 의 변신 제품들을 연이어 선보이고 있는 배경에도 궁금증이 일고 있다. 


이번 신제품의 컨셉 역시 ‘변신’으로, 지난해 출시해 큰 인기를 얻은 ‘거꾸로 수박바’의 돌풍을 이어가기를 바라는 2019년판 깜짝 변신 시즌2라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사실 롯데제과는 작년부터 소비자에게 익숙한 빙과 장수제품을 새로운 포장 형태에 담거나 맛을 바꾼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30여년간 아이스바로 익숙했던 죠스바, 스크류바, 수박바를 컵이나 치어팩 형태로 바꿔 출시하며, 2017년 연간 매출액은 2016년 대비 약 15% 증가하는 등 좋은 반응을 얻었다. 


특히 기존 수박바 제품의 위, 아래를 바꾼 ‘거꾸로 수박바’는 출시 열흘 만에 100만개를 판매하는 등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이후 회오리 수박바, 부드러운 수박바, 색다른 수박바, 노란 수박바 등 모양이나 맛을 바꾼 다양한 수박바를 선보이며 선택의 폭을 넓히는 전략을 구사해 왔다.


이번 신제품들 역시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롯데제과는 올 여름에도 빙과제품의 지속적인 변신을 통해 소비자에게 즐거움과 신선함을 선사한다는 복안이다.  


롯데제과에 따르면 이들 신제품 중 ‘핑크 죠스바’는 제품 겉면이 소비자에게 익숙한 어두운 남색이 아닌 분홍색으로 바꾸고 기존 제품 콘셉트와 반대되는 귀여운 죠스 캐릭터를 포장지에 삽입, 제품에 신선함을 부여한 것이 특징이다. 


또 ‘완전 시원한 수박바’는 수박의 과육을 표현하는 빨간 부분으로만 구성돼 있으며, 작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거꾸로 수박바’, ‘회오리 수박바’ 등에 이은 새로운 변신이다. 


이밖에 ‘가나 비얀코’, ‘가나초코아이스’, 가나초키초키’는 1975년 출시된 국내 대표 초콜릿 브랜드인 ‘가나(Ghana)’를 빙과류에 도입한 제품으로 ‘가나(Ghana)’ 본연의 진한 초콜릿 맛을 살려 평소 초콜릿을 좋아하는 소비자에게 인기를 끌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SBA, 서울에너지공사와 맞손...에너지·환경 분야 실증 지원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서울시의 미래 혁신성장 동력을 만드는 중소기업 지원기관 서울경제진흥원(대표이사 김현우, 이하 ‘SBA’)과 서울에너지공사(사장 황보연, 이하 ‘공사’)가 에너지·환경 분야에서 미래 혁신을 이끌 민간 기술 지원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지난 10일 서울창업허브 엠플러스에서 'ESG 개방형 테스트베드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협력에 나선 것인데, 이번 협약은 공사가 보유한 에너지 인프라를 민간에 개방형 테스트베드로 제공하고, SBA가 기술 공모, 사업화 연계 등 기업지원에 협력하는 공공-민간 협력형 실증 모델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SBA는 기술 공모 및 사업화 연계를 주도하고, 공사는 전기차·수소차 충전소, 열수송관,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에너지 인프라를 개방해 테스트베드로 제공할 계획이다. 그동안 기술은 갖췄으나 실증 공간이 부족해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많은 혁신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성장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증 대상은 탄소 저감, 에너지 효율 향상, 설비 국산화 등 ESG 가치 실현과 직결되는 기술들이며, 우수 기술에 대해서는 판로 개척 및 사업화 등의 연계지원도 이뤄진다.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