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3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CJ프레시웨이, 홈페이지 리뉴얼 오픈..개편 방점은?

고객 맞춤형 소통 확대 및 ESG 경영 강화에 역점 둬
뉴스룸·고객 상담 서비스 및 지속가능경영 콘텐츠 신설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CJ프레시웨이가 고객 소통과 ESG 경영 강화를 위해 공식 홈페이지를 리뉴얼 오픈했다. 

개편 방향은 신규 콘텐츠와 서비스 개설,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개편을 통해 고객 사업 길라잡이로서 홈페이지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의지의 표헌으로,  

이를 위해 우선 ‘지속가능경영’ 메뉴를 신설하고 콘텐츠 구성을 강화했다. ESG 경영 실천에 대한 고객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투명하고 정확한 정보를 공개하기 위함이라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즉, ESG 경영 전략과 주요 활동 성과부터 윤리경영, 사회공헌 프로그램 등 정보를 제공하고, ESG 연간 보고서와 규범 및 정책사항을 게시했고, ESG 경영 의지를 담은 조직별 경영진의 메시지도 전달한다. 

또한 공식 보도자료와 각종 SNS(사회관계망서비스) 콘텐츠를 한곳에 모아 볼 수 있는 미디어 허브 공간 ‘뉴스룸’도 운영한다. 

더불어 고객 편의 서비스도 추가했다.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챗봇’ 문의 기능을 도입하고, 식자재 구매나 단체급식 운영에 대해 간편하게 상담할 수 있는 '비즈니스 상담센터’를 개설했다. 

또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홈페이지 디자인에도 변화를 줬다. 올해 새롭게 선정한 기업 대표 컬러인 '프레시웨이 그린'을 활용해 자연친화적이고 안정감 있는 디자인을 연출했다. 

메인 페이지 상단에는 기업 아이덴티티가 강조되는 시각자료와 메시지를 배치하고, 하단에는 스크롤을 통해 홈페이지의 핵심 콘텐츠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고객 지향의 디자인으로 정보 접근성을 높였다. 

특히 이번에 개편된 홈페이지는 `지디웹 디자인 어워즈(GDWEB Design Awards)`에서 우수 작품으로 선정돼 '위너 프라이즈'를 최근 수상했다. `지디웹 디자인 어워즈`는 한 해 동안 제작된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가운데 학계 교수, 아트디렉터 등 전문 심사위원의 평가를 통해 우수작을 선정하고 있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새롭게 단장한 홈페이지를 통해 푸드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고객에게 유용한 정보와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하고, 지속가능경영 정보 공개를 확대해 고객과 함께하는 ESG 경영을 실천해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꾸준한 개발과 업데이트를 통해 고객 니즈에 최적화된 홈페이지를 선보이며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