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10월 수입차 23.6%↑‥BMW 화재충격 탈피?

10월 누적판매, 수입차 14.4%↑ vs 완성차 5社 0.8%↓



[산업경제뉴스 김소산 기자] 지난달 국내에서 팔린 수입승용차는 전년 동월보다  23.6% 증가한 2만813대로 집계됐다. 이로써 BMW 화재사건으로 촉발된  수입차의 점유율 하락(=판매감소)은 지난해 점유율 수준(13%)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수입차판매량은 올해 최저치를 기록했던 직 전월(9월) 판매량(1만7222대)에 비해 20.9%가 상승해 올해들어 최저점이었던 지난달 수준을 벗어났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는 지난 5일 지난달 수입차 등록대수는 2만813대, 누적판매량은 21만7868대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브랜드별로는 메르세데스 벤츠 6371대, BMW 2131대, 렉서스 1980대, 토요타 1341대, 폭스바겐 1302대, 미니 1183대, 포드 1016대로 1천대 이상 판매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이어서 혼다 880대, 크라이슬러 690대, 볼보 687대, 포스쉐 645대, 랜드로버 636대로 500대 이상을, 닛산 405대 등 8개 브랜드가 100대 이상 팔았다.

10월 베스트셀링 모델은 벤츠(E300) 2668대, 렉서스(ES300h) 1633대, 벤츠(E300 4MATIC) 1348대 순이었다. 

특징은, 그동안 차량 화재사건으로 수입차 판매감소를 이끌었던 BMW는 8월과 9월 각각 –41.9%, -61.3% 로 낙폭을 키워가더니 지난달도 –51.6%로 절반이상 줄어든 폭락세를 이어갔다.

반면, 8월 BMW화재사건 영향으로 판매량 동반폭락을 불러왔던 벤츠가 8월과 9월 각각 –42.7%, -65.3% 감소세에서 지난달 6371대가 팔리며 전년 동월 보다 40.4% 증가, 그동안의 불명예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그 외, 렉서스(118.5%↑), 미니(79.2%↑), 포드(34.4%↑), 도요타(20.8%↑) 순으로 성장했고, 폭스바겐이 지난해 10월 판매중단에 따라 “0”에서, 지난달 1302대가 판매되며 브랜드별 판매량 5위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 올해 최저치, 9월 감소 폭(14.9%↓)에서 벗어나

10월 누적판매량에서 수입차는 21만7868대로 14.4% 성장, 국내 완성차 5사(현대·기아자동차, 한국지엠,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의 같은기간 0.8% 감소세와는 대조를 이뤘다.  

국내완성차 중 올해들어 10월까지 가장 큰 감소폭은 한국지엠 -32.3%, 이어서 르노삼성 -13.5%로 전체 0.8%의 마이너스 성장을 이끌었다. 

수입차 판매량은 올 해 1월 2만1075대로 출발해 3월 2만6402대로 정점을 찍은 후 7월까지 월판매량 2만대 이상을 유지해왔다. 이후 8월 BMW화재사건 영향으로 2만대 이하(1만9206대)로 줄더니 9월에는 1만7222대(14.9%↓)로 최저치까지 주저앉고 나서, 지난달 2만대를 회복했다. 

그러나, 누적실적으로는 9월 13.5% 증가에서 지난달은 14.4%로(0.9%포인트↑) 확대돼 시장으로부터 추세전환 아니냐는 반응이 나왔다. 

지난달 판매량 급반등에 대해 수입차 관계자는, 지난해에 10월 판매량은 추석연휴로 인해, 2016년 10월보다 3779대 감소(18.3%↓)했던 만큼, 올해는 9월 추석명절에 따른, 상대적 기저효과 도움도 있었다고 분석했다.

수입차협회 윤대성 부회장은 “10월 수입차 시장은 일부 브랜드의 물량확보 및 신차출시 등으로 전월 대비 증가했고 향후는 BMW 화재충격에서 벗어나 예년 수준을 회복할 것”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