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대한항공, 2Q 적자 2755억..침체 '늪'으로?

당기순익 2017년 4Q 4791억→1Q 233억→ 2Q -2755억
최근 2분기 동안 당기순익 7546억 원↓...'적자전환'
"국민연금 주주권리로 대한항공 상표권 회수에 나서라"



산업경제뉴스 김대성 기자] 연 초부터 불거진 대한한공 일가족의 이른바 '갑질' 논란이 있은 이후, 대한항공 수익성이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급격한 악화를 보이면서, 지난 상반기 수익성이 '적자전환' 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항공은 14일, 지난 2분기 매출 3조138억원. 영업이익 824억원, 당기순손실 2755억 원의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5.7%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49% 감소해 '반 토막' 으로 급락했고, 순손실은 654억원 증가해 당기 적자폭을 더욱 확대해갔다.


이 영향으로 상반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5.2%가 줄어든 2592억 원이, 당기순익은 같은 기간 171%가 줄어든 2522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적자전환으로 마감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4791억 원의 당기순익을 보이다가, 올 1분기 233억원으로 순이익이 1/20로 급락들더니, 급기야 지난 2분기에만 2755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2분기 매출은 델타항공과의 태평양노선 조인트벤처 효과와 수요 개척으로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글로벌 유가의 가파른 상승(지난해  2분기 평균 48.25 달러→올 2분기 평균 67.91달러) 영향이라고 대한항공 측은 설명했다. 


2분기 여객부문은 중국노선 25%, 일본노선 10%, 등 순으로 성장을, 화물부문은 일본·중국노선이 각각 13%, 3% 증가에 불구, 다른 노선감소와 함께 전체 수송톤도 2% 줄었다. 그러나 상반기 전체부문의 변동사항은 밝히지 않았다.


향후 전망에 대해 회사 관계자는 “3분기 여객 수요 강세예상으로 신규 시장 중심으로 수익성 개선에 집중 할 것” 이라며 “3분기 화물 부문은 네트워크 다변화 주력 과 신 기재 중심으로 운영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반해 업계 관계자는 “대한항공 총수일가가 불러온 최근의 ‘갑질‘ 논란은  재벌의 뿌리 깊은 특권의식이 불러온 병폐” 라며 “그간 소비자가 기업성장 기여에도 불구하고 ’갑 질‘ 대상에 불과했다”며 비아냥 거렸다.


이어서 그는“향후 대한항공은 소비자의 기피대상으로 성장은 커녕 후퇴를 거듭할 것”이라며 부정적 전망과 함께 “총수일가의 뼈아픈 반성을 통해 대한항공은 외면받는 기업에서  다시 태어나는 항공사로 변화하길 바란다” 며 과제도 안겼다.


 ■ "국민연금 주주권 행사로 대한항공 상표권 회수에 나서라"


이런 가운데 참여연대는 최근 대한항공조종사노조·시민단체 등으로부터 고발당한 대한항공을 상대로 “대한항공은 총수일가의 ‘갑질’ 논란으로 기업가치가 심각하게 훼손됐다“ 며 ”국민연금이 조 회장의 횡령·배임·사기 등 혐의와 조원태 사장의 대한항공 상표권 부당 이전에 따른 배임 혐의에 대해 주주권 행사계획을 강력히 촉구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행사내용은 대한항공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과반 이상의 독립적 이사회 구성  △소비자·종업원·항공전문가 대표를 이사회 포함 △대한항공 상표권 회수 △총수 일가회사 일감몰아주기 근절 △조양호·조원태 부자 동반퇴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