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기아차 1분기 영업이익, 7년 만에 ‘반등성공’

7년 전 고점 대비 여전히 ‘반 토막’‥45.3%↓
“판매량 증가 없는 영업익 확대는 일시적 요인“


[산업경제뉴스 김소산 기자] 기아자동차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7년 동안 이어오던 하락세를 벗어나 반등에 성공했다. 


기아차는 지난달 25일, 올해 1분기 실적발표(연결기준)를 하면서, 판매대수는 전년 동기보다 0.5% 증가한 64만8913대, 매출액 12조4444억 원, 영업이익 5941억 원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0.9% 줄어든 반면, 영업이익은 94.4%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도 전년도 2.4% → 올해는 4.8%로 2배(2.4%p↑) 증가세를 기록, 과거 7년 동안의 하락곡선에서 모처럼 벗어났다.

하지만 이는 전년 동기 3828억 원에 불과했던 기저효과에다 7년 전에 비해 여전히 ‘반 토막 수준을 보이고 있어, 향후 실적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판매량의 미세한 증가에 대해 ,기아차는 미국 시장에서 텔루라이드의 성공적 출시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영업이익 확대에 대해서는 “원 달러 환율의 우호적 환경 덕분” 이라며 “이에 더해, 통상임금 소송 충당금 환입으로 인한 매출원가 감소영향”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는 기저효과에다 일시적 현상이라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에서도 반영되고 있다. 

■ 영업이익·율 반등은, 전년 1분기 최저점 기저효과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은 3056억 원, 영업이익률은 2.4%로 2012년 1Q 이래, 둘 다 1분기 최저점을 형성, 올해 1분기 실적반등이 기저효과라는 게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게다가, 2012년 이후 영업이익이 반등세를 보인적은 있으나 이듬해 곧바로 하락세를 반복(2015년, 2017년) 해 왔고, 원가절감 요인이 지속적이 아닌 소송 충당금 환입이라는 외부적·일시적 요인 때문 이라는 회사 측 발표에도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회사 측은 매출원가율 하락이 원 달러 환율 상승과 통상임금 소송 충당금 환입 효과 등으로 전년 대비 2.5%포인트 줄었고, 판매관리비 비율은 전년 대비 0.1%포인트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기아차의 영업이익·이익률의 지속적 반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로는 역부족이라는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영업이익률 2012년 1Q 9.2%→ 2018년 1Q 2.4% →2019년 1Q 4.8%

7년 전(2012년) 기아차의 1분기 영업이익률은 9.2%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듬해부터 추락을 거듭하며 지난해 1분기에는 2.4%까지 떨어졌다. 7년 만에 1/4수준 까지 곤두박질 친 것이다.

그런데 매출액은 같은 기간 11.8조 원 → 12.4조원으로 7전전과 단순 비교했을 때 5.1% 증가했다. 

하지만, 판매량은 3년 전 2016.1Q 70.4만대 → 2019.1Q 64.9만대로 7.8%가 감소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6336억 원 → 5941억 원로 6.2% 감소했다.

이에 대해 업계관계자는 “판매량 증가 없는 영업이익 확대는 일시적 요인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기아차는 자율주행차 등 신기술 개발을 위한 R&D 비용확대 등 생산원가 상승으로 매출원가가 타 경쟁사 보다 높은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향후 대책으로는, 미국시장의 SUV 텔루라이드 판매 본격화와 CUV 시장 1위 차종인 쏘울 신 모델의 판매 확대에 총력은 물론, 하반기에 하이클래스 소형 SUV(프로젝트명 SP2)의 글로벌 시장 론칭과 국내 시장에 신규 RV 모델을 투입, 수익성을 극대화 한다는 방침이다.

게다가, 전사적인 비용 절감 등 내실경영 강화와 더불어 미래 신사업 전개와, 이를 위한 전동화 사업의 구체화로 현재 어려운 상황을 적극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환경 · ESG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환경재단, 멸종위기 식물 및 담수어종 복원 행보 ‘구슬땀’ [산업경제뉴스 민경종 기자] 환경재단이 민간기업 및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국내 멸종위기 식물과 어류 복원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지난 1일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하는가하면, 2일에는 에쓰오일·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멸종위기 황쏘가리 복원을 위해 치어를 방류하는 등 민관 협력을 잇따라 진행한 것. 이는 온난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등으로 나날이 황폐화되어가는 지구 환경을 조금이라도 보살피기 위한 발걸음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000주를 식재했다. 이는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식물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주목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