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3.2℃
  • 구름많음강릉 8.5℃
  • 구름조금서울 6.4℃
  • 구름조금대전 6.6℃
  • 구름조금대구 5.1℃
  • 울산 6.8℃
  • 흐림광주 8.0℃
  • 맑음부산 8.2℃
  • 흐림고창 5.5℃
  • 맑음제주 9.9℃
  • 흐림강화 6.4℃
  • 맑음보은 3.5℃
  • 구름많음금산 7.2℃
  • 맑음강진군 6.1℃
  • 구름많음경주시 6.3℃
  • 구름많음거제 7.6℃
기상청 제공

대전집 7채 팔아 강남집 1채 사러 오는 까닭

아파트가격 7배 차이...가격 상승률은 14배 차이



[산업경제뉴스=문성희 기자] 최근 강남지역 부동산중개소에는 대전이나 울산 등 지방에서 온 아주머니들과 어르신들이 종종 눈에 띈다고 한다.


강남에 있는 아파트를 사려고 오시는 분들인데 상담을 하다 보면, 대부분이 대전이나 울산 등 지방도시에 아파트를 몇 채에서 몇 십 채 씩 갖고 있는, 그 지역에서는 부동산 재벌로 불리는 분들이라고 한다.


강남 아파트를 사는 건 좋은데 매수를 위한 자금은 어떻게 조달할 거냐고 물으면 대부분 갖고 있는 지역 부동산을 팔아서 자금을 마련할 테니 꼭 매물을 찾아 달라고 부탁하는 모습을 보인다.


두 지역간의 아파트 가격을 계산해 보면 적게는 3~4배, 많게는 6~7배 차이가 나서 그렇게 많은 물건을 팔아 자금을 마련하는 게 가능하겠냐는 질문에도 이미 그정도쯤은 각오하고 왔다고 대답한다. 중개업소 관계자에 따르면 실제로 그렇게 많은 물건을 팔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2~4채 정도는 처분계획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한국감정원의 전국 아파트 가격 추이를 보면, 올해 1월 현재 서울 강남구의 아파트는 평균 14억원을 넘어 섰다. 아파트에 따라 재건축이라도 걸려 있으면 20억원 내외를 호가하는 아파트도 적지 않다. 


반면, 대전이나 울산 지역 아파트들은 평균 2억2천~2억4천만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고 아무리 비싼 아파트도 3억원을 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 집값 상승률 14배 차이 "거래비용 쓰더라도 강남아파트가 남는 장사" 


집 한 채를 팔고사는 것도 보통일이 아닌데 몇 채 씩 팔아서라도 강남 아파트를 사려는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는 것이 시장의 분석이다.


최근 3~4년 부동산 열풍이 불어 전국의 집값이 모두 상승 곡선을 그렸지만 시간이 갈수록 지역에 따라 상승률 차이가 워낙 크게 벌어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2014~2015년 부동산 열기가 시작될 때만해도 서울과 지방 상승률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고 대구, 세종, 제주 등 지역은 왠만한 수도권 지역보다 상승폭이 더 크기도 했다. 하지만 2016년을 지나 폭발적 상승세가 조금씩 잠잠해 지면서 서울과 지방의 상승폭이 점차 확연히 갈리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해 부터 지방의 집값 상승은 거의 멈추거나 벌써 하락이 시작된 지역도 있는 반면 서울, 그것도 강남 집값은 오히려 더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부동산 열기가 가라 앉으면서 투자자들이 점차 '선택과 집중'을 하기 시작했고, 그동안 부동산시장에 풀린 돈이 이런 투자전략에 따라 강남을 선택해 집중되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지난 1년 동안 아파트값 상승률을 보면 서울 강남구 아파트값은 1년만에 27.8%가 상승했다. 강남 아파트 중에도 재건축이 추진중이거나 예정된 아파트는 100% 넘는 상승률을 보이기도 했다.


반면, 대전 지역 아파트는 1년 사이 2.0% 상승해 전국 상승률인 11.5%의 5분의 1에도 못미치는 상승세를 보였다. 울산도 4.9% 상승에 그쳤고, 충청도와 경상도 지역의 아파트는 각각 0.9%, 2.8% 하락세를 보였다. 


강남 중개소 대표는 "지방에서 강남으로 올라 오시는 분들은 지방아파트를 팔면서 세금과 중계 수수료를 내고 때로는 은행대출까지 받아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돈을 쓰더라도 상승세가 멈춘 지방에 아파트를 몇 채 들고 있는 것 보다는 강남 아파트를 한 채라도 사두는게 몇 배 이익이라는 계산이 나오기 때문"이라고 지방 다주택 소유자들이 강남으로 올라오는 이유를 설명했다.


■ 하락세로 접어 든 시장...지방 아파트 불안감 상승


더욱이 지난 국제 금융위기 때 지방 아파트들이 반 값 가까이 떨어졌는데도 강남 아파트들은 10% 내외 하락에 그친 반면, 최근 가격상승 국면에서는 지방 아파트보다 강남 아파트가 10배 넘는 상승률을 보이면서 '강남으로 상경'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최근 주택시장이 하락세로 접어 들면서 지방아파트 소유자들의 집값 하락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 이런 분위기가 지방아파트를 팔려는 움직임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인천 지역에서 주택사업을 하는 주택사업자는 "지난 3~4년 워낙 많은 아파트가 공급됐고 지난해 부터 입주 물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벌써 문을 닫는 중개업소가 나오기 시작한다"며 "지방 아파트의 경우 투자자들은 물론 실수요자들 조차 집값 하락에 대한 불안감을 표시하며 집을 팔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묻는다"고 지방 주택시장의 불안감과 지방 아파트 매물이 증가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이런 현상을 야기시키는 주택 양극화를 해소하는 게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최근 정부가 끈질기게 매달리고 있는 '강남 집값 잡기'에 대해서는 또다른 목소리가 나온다. 


과거 정부에서도 '강남 집값 잡기'가 오히려 '강남 희소성'을 부추겨 투자수요가 강남으로 쏠리는 현상이 나타났다며 전반적인 시장의 수요공급에 맡겨야 불균형이 줄어 들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무엇보다 '강남집값 잡기'가 '지방집값 잡기'로 확대되서는 안된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 3년 사이 130가구가 넘게 공급돼 이미 시장은 과다공급에 따른 숨고르기에 들어갔는데 정부의 집값 잡기 정책이 가뜩이나 취약한 지방주택시장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부의 지역불균형 해소 의지에 대해서는 공감하는 분위기지만 이를 한번에 해결하려고 서둘러서는 안된다는 게 대체적인 의견이다. 최근에도 재건축 연한 조정이나 재건축 기준 강화 정책이 나왔지만 시장에서는 또 어떤 결과를 만들어 낼 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
친환경 패키지에 산불피해 성금...동서식품 ESG 경영 분주 [산업경제뉴스 민혜정 기자] 국내 커피전문기업 동서식품(대표 김광수)이 친환경 패키지 도입과 산불피해 이재민과 복구 지원을 위한 성금을 기부하는 등 ESG경영으로 구슬땀을 흘리고 있어 훈훈함을 더하고 있다. 먼저 동서식품은 주요 커피믹스 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의 스틱에 신규 디자인을 적용한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새롭게 도입된 디자인은 스틱 포장재 생산에 사용되는 잉크와 유기용제 양을 대폭 줄여 환경에 미치는 부담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보다 한층 밝은 컬러와 심플한 디자인을 적용하고, 스틱 곳곳에 있던 금색의 디자인 요소를 제거했다. 이를 통해 잉크와 유기용제의 사용량을 각각 연간 9.8톤씩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또한 맥심 슈프림골드는 기존의 무광 포장재 대신 유광 포장재를 적용해 잉크 사용량은 연간 6.5톤, 유기용제 사용량은 연간 3.2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동서식품은 2021년 6월에 맥심 커피믹스 대규격 제품에 종이 손잡이를, 또 2023년 3월에는 커피믹스, 인스턴트 커피 리필, 포스트 시리얼 스탠드백 등 자사 제품군에 녹색 기술 인증을 받은 포장재를 적용해